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미국 신정부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올해 수출은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관세 피해지원에 가용한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수출전략회의를 열고 "오늘부터 ’민관합동 수출전략회의‘를 재개해 관련 기관과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대응 전략을 구체화해 나가는 논의의 장으로 운영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캐나다·멕시코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미국의) 관세부과가 3월에 예정되어 있고, 4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 부과계획도 발표됐다"며 "대미 수출 영향이 파급되면서 다른 지역에서의 수출 경쟁도 격화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역대 최대인 366조원 수준 무역금융 공급과 상반기에 수출바우처 예산(2400억원)의 90% 이상 투입을 골자로한 범정부 수출 대책을 발표했다.
또 통상환경 변화로 해외사업장을 조정하는 기업들이 국내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유턴기업 세제지원과 보조금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최 권한대행은 "향후 관세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가 구체화되는 경우,추가적인 재정지원 방안도 적극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우크라이나, 중동 등 향후 재건 수요가 기대되는 지역에 한시적인 수출 특례보험을 통해 선제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 최근 부상하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시장을 타게팅해 현지 네트워킹, 무역금융, 마케팅 등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수출품목 발굴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서비스 수출지원을 위해 ’테크서비스 전용 바우처‘ 도입과 우리 기업의 전자·IT 분야 해외전시회 참여 지원도 확대할 것"이라며 "한류를 이끄는 화장품 시장에 유망기업의 진입을 위해 ’K-뷰티론’ 신설과 면세점 내 입점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