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원자재 값 올라 가격 올렸다더니 작년 실적은 역대급

  • 정부 지원만 받고 가격 올리고

  • 이윤 위해 소비자 부담은 외면

  • 커지는 '그리드플레이션' 논란

물가 따라 오르는 케이크 가격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먹거리 물가가 치솟으면서 케이크 가격이 4만원에 육박할 정도로 높아졌다 투썸플레이스는 지난 26일부터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사진은 31일 서울 시내 한 투썸플레이스 매장에 케이크가 진열돼 있다 2025331
    ksm7976ynacokr2025-03-31 143803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 시내 한 투썸플레이스 매장에 케이크가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가 원자재 가격 상승을 근거로 메뉴 가격을 올렸으나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나 그리드플레이션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그리드플레이션이란 고물가 분위기를 틈타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과도하게 올리는 것을 뜻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지난달 26일 케이크·커피·음료 등 메뉴 58종 가격을 평균 4.9% 인상했다. 이번 인상으로 대표 제품인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7000원에서 3만9000원으로 2000원(5.4%) 올랐고 레귤러 사이즈 커피 제품 23종 가격은 200원씩 뛰었다.

특히 투썸플레이스는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지난 2월 외식업계 간담회를 열고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당부한 지 한 달 만에 가격을 올렸다.

가벼운 한 끼로 여겨지던 햄버거도 세트 가격이 1만원에 근접했다. KFC는 이달 8일 치킨과 버거 등 일부 메뉴 가격을 최대 300원 올렸다. 지난해 6월 한 차례 가격을 올린 뒤 1년도 채 안 돼 또다시 가격표를 고쳐 쓴 것이다.

버거킹도 지난 1월 일부 제품 가격을 100원씩 인상했다. 이에 와퍼 세트 가격은 9200원으로 1만원 선을 목전에 두고 있다. 맘스터치 역시 지난해 10월 버거류와 치킨류를 각 300원, 500원씩 올렸다.
 
올해 가격 인상 나선 외식 프랜차이즈 그래픽아주경제
올해 가격 인상 나선 외식 프랜차이즈 [그래픽=아주경제]

이들 업체는 메뉴 가격 조정을 원자재 가격·제반 비용 상승 탓으로 돌렸으나 지난해 나란히 최대 실적을 냈다. 지난해 투썸플레이스 영업이익은 327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KFC 코리아의 작년 영업이익은 164억원으로 469% 늘었고, 버거킹 운영사 BKR 역시 영업이익이 384억원으로 60% 증가했다. 맘스터치는 매출이 사상 처음 4000억원을 넘었고 영업이익도 700억원대를 기록했다.
 
그렇다 보니 소비자단체는 업체들의 잇따른 가격 인상이 원자재 가격 상승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는 입장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최근 성명에서 "식품 기업들이 3∼4월 식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환율과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을 근거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실적 개선과 이윤추구를 위해 소비자 부담을 외면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협의회는 코코아와 원두 등 일부 원재료 가격이 올랐지만, 밀가루와 식용유, 옥수수 등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락했다고도 덧붙였다.

정부도 외식업계 가격 인상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정부가 업체들의 경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요 수입 식재료와 농산물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커피와 코코아 수입 부가가치세 10% 면세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하고 외식업계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 지원만 받고 가격을 올리는 것은 불공정한 것"이라며 "재무제표 등을 분석한 뒤 세부 대책을 더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