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출석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구명로비 의혹은 전혀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23일 임 전 사단장은 정부과천청사에 있는 공수처 청사에 출석하면서 취재진에게 이같이 밝혔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공수처에서 진행되는 디지털 포렌식 참관을 위해 출석했다.
그는 '포렌식 작업에서 어떤 자료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작년 8월 포렌식에서 이미 많은 자료들이 나왔고,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언급된 단톡방 참가자들을 포함해 통화목록까지도 모두 수사기관에서 조사가 이뤄졌다"며 "공수처는 구명 로비가 없었다고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여전히 풀리지 않는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두고는 "지금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저도 알려줄 수 없어 안타까울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박 대령을 강요죄로 고소한 사건도 해병대 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라며 "박 대령이 저를 조사하기 전 김계환 사령관의 뜻이라며 '작전통제권을 육군에 넘겼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 말라고 했다. 이에 따라 (조사 당시) 작전통제권이 없어 책임도 없다는 주장을 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 등을 2023년 7월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해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이 사건을 무마시키려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 등을 참고인으로 조사하고 임 전 사단장의 휴대폰을 압수하는 등 실체 파악을 위해 수사를 벌였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비상계엄 수사를 위해 채 상병 사건 수사를 약 4달간 중단했다가 이번에 재개했다.
전날 공수처 관계자는 수사를 재개하게 된 계기에 대해 "박 대령 재판이 시작되고 1심 결과가 나온 상황에서 수사를 아예 안 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 수사팀 판단하에 포렌식 절차를 진행하게 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공수처는 이날 포렌식 작업에 앞서 지난해 8월에도 임 전 사단장 참관하에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을 진행했다.
앞서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으나 임 전 사단장이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주장해 잠금을 풀지 못해 수사에 난항을 겪었으나, 이후 자체적으로 일부 자료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고 지난해 7월 경찰에 휴대전화를 넘기며 포렌식 협조를 요청해 이달 중순께 돌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