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주관한 ‘2026년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이하 새뜰마을사업)’ 공모에 부산과 경남에서 총 18곳이 최종 선정됐다.
이번 결과로 두 지역은 국비 총 1000억원 이상을 확보하며, 주거환경이 열악한 취약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청신호가 켜졌다.
부산시는 △동구 범일1동 △부산진구 범천2동 △사하구 신평1동 등 3곳이 새롭게 선정되면서 2년 연속 3곳 연속 선정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 133억원(국비 93억원, 지방비 40억원)을 투입해 해당 지역의 주거환경 및 안전·생활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선정 지역을 살펴보면, 동구 범일1동은 한국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형성한 급경사 산복도로 지역으로, 재해방지 안전시설과 골목길 정비, 마을공원 조성 등이 추진된다.
부산진구 범천2동은 절골·미실마을 일원으로, 방재 마당과 공동체 공간, 경로당 등이 조성되며, 사하구 신평1동은 태풍 이재민과 철거민 집단이주 지역으로서 노후 옹벽 정비와 골목정원, 마을회관 조성 등 맞춤형 환경개선이 이뤄질 예정이다.
한편, 경상남도는 농어촌 14곳과 도시 1곳 등 총 15개 마을이 선정돼 국비 최대 450억 원(지역별 차등 지원)을 확보하게 됐다.
김해, 의령, 함안, 고성, 남해, 산청, 함양, 거창, 합천 등 도내 각지에 걸쳐 고르게 선정됐으며, 도시지역으로는 밀양시 삼랑진읍 임천마을이 포함됐다.
경남도의 이번 사업은 슬레이트 지붕 개량, 노후주택 정비, 화장실 개선, 상하수도 정비, 축대 보강 등 기반 인프라 확충뿐 아니라, 노인 돌봄과 건강관리 등 ‘휴먼케어’ 사업까지 포괄하는 통합형 마을 재생 프로젝트로 추진된다.
도는 2025년까지 총 141개 마을에 약 3013억원을 투입해 지역 불균형 해소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시는 2015년부터 올해까지 총 26곳이 새뜰마을사업에 선정돼 국비 800억원을 포함해 1157억원을 확보했으며, 경남도는 올해만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15곳이 선정되는 등 성과를 거뒀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경제성장 과정에서 소외됐던 주거 취약지역 주민들이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받는 것은 도시의 품격을 높이는 일”이라며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내실 있는 사업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명현 경남도 균형발전본부장은 “마을이 살아야 지역이 살아난다”며 “이번 사업이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넘어 외부 방문객이 찾는 활기찬 공동체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