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전년 대비 각각 8.7%, 1.5% 인상된 것으로 격차가 최초 요구안(1470원)보다 640원 좁혀졌다.
노동계는 최저임금 인상 폭을 높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고물가 시기 누구보다도 가장 고통받는 계층은 단연코 저임금노동자"라며 "최저임금으로 경영상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보다 최저임금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노동자 수가 압도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 역시 "경제가 어렵고 자영업자의 매출이 늘지 않는 이유가 최저임금 때문이냐"며 "최저임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이 사회에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대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다. 최저라는 이름으로 노동자들에게 절망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급격한 부담 증가는 영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폐업, 인력 감축으로 내몰 것"이라며 "엄중한 현실을 감안해 신중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고물가는 근로자 실질임금을 감소시켜 생활수준을 낮추기도 하지만 사업주에게는 원재료비를 인상시켜 매출과 수익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취약 사업주도 고통스럽기는 매한가지"라며 "최저임금법 준수율을 높이려면 취약사업주 입장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