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용 에탄올 화로'는 에탄올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불꽃으로 주변 공간을 장식하는 제품으로 캠핑이나 주택 실내 장식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나 가스 연결 없이 간편하게 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감상할 수 있어 젊은 층의 수요가 높은 제품이다.
다만 그간 제품의 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화로의 불꽃이 꺼진 것으로 오인하고 연료를 주입하다가 연소되지 않은 불꽃이 제품의 연료통으로 옮겨 붙거나, 사용 중 제품이 쓰러지면서 유출되는 연료에 불이 붙어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안전기준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실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및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6월까지 관련 화재사고는 40건으로 12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품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기준준수대상생활용품으로 한다. 안전기준의 시행 시기는 기업의 제품 준비 기간을 고려해 안전기준 고시일로부터 1년 후인 2026년 8월 27일로 정했다.
김대자 국표원 원장은 "휴대용 에탄올 화로와 같이 불을 다루는 제품에 대한 사고 예방은 국민안전을 위한 정부의 중요한 책무"라며 "앞으로도 새로 출시되는 제품에 대한 위험성을 살피면서 안전관리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