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조석래)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 자금사정 실태조사’ 결과, 현재 상황에서 가장 유효한 금융정책 과제로 응답 업체의 47.9%(제조업 46.7%, 서비스업 49.7%)가 저금리 등 확장적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즉 기업들의 상당수는 경기회복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정부정책이 성급한 긴축정책으로 전환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밖에 제조업의 경우 수출입금융 원활화(17.6%)와 중소기업 의무대출비율 완화(14.9%)도 중요한 정책 과제로 제시한 반면, 서비스업은 정부의 금융기관 자금지원 확대(19.1%), BIS비율 신축적 운용(13.3%) 순으로 응답, 업종간 정책지원 수요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2/4분기 기업의 자금사정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자금사정이 전분기와 비슷하다고 응답한 기업이 57%로 가장 많았으나, 호전되었다고 응답한 업체(29.6%)가 악화되었다고 응답한 업체(13.4%)의 두 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3월 조사 때 악화되었다는 업체(26.1%)가 호전되었다는 업체(13.3%)의 두 배에 달했던 것과 정반대의 결과다.
자금사정이 호전되었다고 응답한 업체들은 그 이유로 매출 증대(45.4%)를 가장 많이 들었으며 대출여건 개선(15.6%), 회사채발행 활성화(12.8%), 저금리(10.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매출변화와 관련해서는 응답업체의 50.6%가 2분기 매출이 전분기에 비해 증가했다고 답변했으며,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힌 업체는 23.7%로 나타났다. 매출 증가와 관련해서는 내수 증가 업체가 55.4%, 수출 증가 업체가 44.2%에 달하는 등 내수와 수출이 모두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들이 자금조달 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은 금융기관 신규 대출 및 만기 연장 곤란(27.4%)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리스크 관리(18.7%), 매출채권 회수(17.0%), 고금리(14.6%) 등도 주요 애로사항으로 지적되었다.
자금수요와 관련하여 단기(1년 미만) 자금의 경우 원자재 매입(39.6%)이 가장 큰 자금수요처로 나타난 반면, 장기(1년 이상) 자금은 설비투자(34.8%)가 최대 수요처로 나타나 향후 기업 투자 및 투자자금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전경련 금융조세팀의 박용민 연구원은 "기업의 자금사정이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여전히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고, "본격적으로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확장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 이형구 기자 scaler@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