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조치 이행을 재강조하고 나섰다.
클린턴 장관은 26일(현지시간) NBC 방송의 '미트더프레스' 프로그램과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협상에 복귀하길 여전히 희망하지만 협상 복귀만으로는 보상받을 수 없다"며 반쪽 조치엔 보상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그는 또 중국까지 북한이 핵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하는 국제적인 압력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그 어느 때보다도 고립돼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주 태국 푸껫에서 열렸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 후 귀국한 클린턴 장관은 "아세안 회의에서 북한 대표는 나와 같은 회의실에서 있었는데 그는 과거 수십년전 북한에서 잘못된 일까지 미국에 뒤집어 씌우며 공격을 가했다"고 전했다.
클린턴 장관은 특히 "이제 북한에는 친구가 남아 있지 않다"면서 "버마(미얀마)조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제재를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신선호 대사는 지난 24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공동의 관심사에 관한 어떤 교섭에도 반대하지는 않는다"며 미국과 양자 대화를 재개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클린턴 장관은 북한이 억류 중인 미국인 여기자 2명 문제과 관련해 이는 핵문제와는 별개로 다뤄져야 한다면서 이들의 신속한 석방을 촉구했다.
그는 또 "우리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모든 조치를 세우고 있다"면서 "억류 중인 여기자들은 북한에서 대우를 잘 받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