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주식 불공정거래 늘었다

상반기 주식 불공정거래로 금융당국에 접수된 건수가 작년 동기보다 16%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불공정거래 70% 이상은 코스닥에서 발생해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불법매매에 훨씬 취약했다. 혐의를 확인한 불공정거래 가운데 81%는 검찰에 고발 또는 통보조치 됐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 말까지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혐의로 접수된 사건은 모두 122건으로 작년 동기(105건)보다 16.2%(17건) 증가했다.

이 가운데 금감원이 자체 인지한 사건은 29건, 한국거래소로부터 통보받은 사건은 93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현재 금감원 차원에서 처리가 끝난 90건 가운데 미공개정보이용(30%)과 대량 소유주식 보고 위반(30%이 가장 많았다.

시세조종(18.9%)과 사기적 부정거래행위(7.8%), 단기매매차익취득(2.2%)이 뒤를 이었다. 10건은 무혐의로 처리됐다.

특히 부정거래 71.4%(5건)와 시세조정 70.6%(12건), 미공개정보이용 77.8%(21건)가 모두 코스닥에서 일어났다.

불공정거래가 중소형주 위주인 코스닥에 집중된 것이다. 시가총액이 적고 테마도 빈번해 상대적으로 불법매매를 저지르기 쉬운 탓이다.

혐의가 드러난 80건 가운데 81.3%에 해당하는 65건이 검찰에 고발 또는 통보조치 됐다. 단기매매차익반환은 8건, 경고는 7건에 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불공정거래 수법이 더욱 정교화되고 있다"며 "실적 악화를 비롯한 악재성 정보와 관련된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혐의도 적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유 상장사 재무상태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하고 주가와 거래량 급변에도 신경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