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대입 수능 - 언어·외국어 어려웠다.

-‘전반적 난이도, 작년과 비슷'
- 수리는 약간 쉬워져 … 상위권 변별 영향력은 여전

12일 실시된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어와 외국어가 작년에 비해 까다롭게 출제된 것이 특징이다.

수리'가'와'나'는 작년보다 평이하게 출제됐다.

하지만 상위권 변별력은 여전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올해도 수리영역이 대입의 당락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

교과서 내용에 충실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교과서 내외 소재가 다양하게 활용됐고 비문학 읽기가 까다롭게 출제됐다.

'문학 읽기'부문은 교과서에서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EBS 수능 교재와의 연계를 고려해 출제했다.

현대시와 고전시가의 복합지문으로 '승무'(조지훈),'지리산 뻐꾹새'(송수권), '면앙정가'(송순), '관촌수필'(이문구), '만복사저포기'(김시습)등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볼 수 있었던 내용이다.
윤홍길의 원작소설을 각색한 극문학 '장마'도 지문으로 제시됐다.

'비문학 읽기'에는 인문·사회·과학·예술·언어 등 다양한 부문의 지문이 게재 됐다. 특히 제시된 지문의 핵심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들을 중점적으로 출제했다.

'듣기'에서는 생활ㆍ인문ㆍ정보기술 분야의 강연, 수업, 소개, 협상 등 다양한 유형의 담화(談話)가 제시돼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강조했다.

'쓰기'에서는 논리성을 토대로 한 창의성을 강조했다. 또 쓰기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게 문항을 배치해 종합적 사고능력을 평가하는 데 무게를 뒀다.

'어휘ㆍ어법'에서는 정확한 언어 구사를 바탕으로 한 규칙을 발견하는 데 평가 초점이 맞춰졌다.

장희민 하나고 교사는 "소설 지문은 길어지고 비문학 지문은 짧아졌으며 지문당 문항이 2~5문항으로 다변화됐지만 대체로 평이했다"며 "하지만 비문학 읽기의 기술 관련 지문은 추론하고 적용을 해야 하는 문제가 나와 어려웠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언어 영역이 대체적으로 지난해보다 어려웠고 1등급 커트라인이 약간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최상위권 학생들은 `실수'를 얼마나 줄였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리 영역

이과생들이 치르는 수리'가'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  문과생들이 보는 수리'나'는 지난해 수능에 비해 쉽게 출제됐다.

'가'형은 함수에 대한 표현, 해석 능력을 묻는 문제가 다수 출제됐고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단원인 공간도형과 백터 부분이 지난 해에 비해 쉽게 출제됐다. 또 수능모의평가에서 어렵게 출제됐던 경우의 수, 확률 문제가 평이하게 출제돼 문제 풀이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나'형은 수열 및 수열의 극한과 관련된 문제가 조금 어려웠지만, 나머지 문제는 대체로 익숙한 유형의 문제들이다. 경우의 수, 확률 문제도 '가'형과 같이 쉽게 출제됐다.

이금수 서울 중대부고  교사는 "난이도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쉬운 정도다. '가'형은 시간이 좀 걸렸을 것 같고 '나'형은 무리 없었을 듯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수리 영역이 상위권을 변별하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국어(영어)

고난도 유형인 빈칸 문제가 한 문제 늘어났고 전체적으로 지문 길이가 길어져 작년보다 어려웠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새로운 유형은 출제되지 않았지만 과학·자연 등 학생들이 어렵게 느낄만한 소재가 다수 출제됐다. 또 해석이 어려운 문장이 많아 문제풀이 시간이 부족했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듣기는  '주문할 야외용 식탁 고르기', '약에 관한 설명'등의 실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문항이 있었다.

어법에서는 분사·의문사 등의 용법 문항과 동명사·be동사 용법 등을 다루는 문항이 출제됐다. 독해는 작년도 출제 유형과 비슷한 유형을 유지한 가운데 글의 주제와 요지, 제목, 도표에 대한 내용 일치, 글의 순서 등을 묻는 문제가 출제 됐다.

민판규 서울과학고 교사는 서울과학고 민판규 교사는 "올해 외국어영역의 출제 형태는 올해 6월 9월 모의고사와 아예 똑같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민 교사는 "특이한 유형의 문제는 없고 지금까지 했던 것과 비슷한 것 같다"며 "3점 문항이 고난이도여서 학생들이 시간을 많이 소요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탐구 영역

사회탐구영역은 사회과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해 대학 교육을 받는데 필요한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 위주로 출제됐다.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윤리적·역사적·지리적·사회적 상황 등을 소재로 제시했다.
난이도는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까지 고르게 출제해 변별력을 높였다. 또 선택 과목간 표준 점수의 차이는 줄이기 위해 각 과목별로 적정한 수준의 난이도가 유지되도록 했다.

 새로운 유형의 문항들도 다수 출제됐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측은지심'의 뜻, '정치 제도 운영의 구체적인 양상'들을 물었다.

과학탐구는 지난해 수능 수준을 유지하고 선택과목 간 난이도 편차에 따른 유·불리 논란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했다. 특히 지난해 수능에서 다소 쉬웠다고 평가된 '물리1'은 다소 어렵게 나왔다.

문제는 과학적 상황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황을 활용해 출제했다. 실제로 실험을 해본 수험생이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항도 냈다.

아주경제= 이정화 기자 jhle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