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 부처와 여야는 농협법 개정안을 두고 조세특례 등 현안에 대해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예산안 처리 문제로 여야 대치 상황까지 벌어져 농협법 개정안 논의는 아예 불가능했던 것.
이에 따라 농협이 계획했던 금융지주와 경제지주 등으로 개편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농협법 개정안은 농협중앙회를 농협연합회, 경제지주, 금융지주 등 3개 법인으로 나누는 것으로 농협은 개정안이 연내에 처리되기를 희망해 왔다.
농협법 개정안 중 금융지주의 재편 작업은 은행, 보험, 카드를 핵심 사업으로 삼고 있다.
이중 NH보험과 NH카드는 현재 중앙회 내부 조직이기는 하지만 분사돼 독립 법인이 되는 순서를 밟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 통과 불발로 지금은 전면 중단된 상태다.
특히 NH보험의 경우 개정안에 따라 자동차보험·변액보험·퇴직연금보험 같은 보장성 보험 판매에 주력할 것을 계획, 사업단을 늘리고 보험 설계사들을 충원해 왔다. 하지만 개정안 통과가 무산돼 더 이상 사업 진행이 힘든 상황이다.
NH보험 관계자는 “지난 10년 사이 9개의 사업단을 새로 만든것이 전부다”라며 “(농협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판매채널을 훨씬 수월하게 늘릴 수 있겠지만 앞날이 불투명해 인력 충원도 (지금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고 전했다.
농협 신용부문이 금융권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타 은행들은 이미 대형화, 겸업화를 지향하며 인수합병(M&A)을 시도하는 동안 농협은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 금융지주사 전환을 대비해 고객정보를 공유한다거나 종합금융서비스 제공을 준비하고 있지만 이것 또한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 형국이다.
농협 신용부문 관계자는 “앞으로 BIS 자기자본비율 특례 폐지 등 규제·감독체계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고민”이라며 “금융권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데 농협은 수익창출의 기회가 아예 꽉 막혀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신경분리 작업을 위해 사업구조개편본부에 파견 나가 있는 인력 손실도 더 이상 간과해선 안 될 부분이다. 개정안 통과가 지지부진함에 따라 150명 가량의 직원들이 1년 가까이 허송세월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 관계자는 “초기엔 농협 내 고급인력들로만 차출돼 부러움을 샀지만 통과가 자꾸 미뤄져 본부 내 직원들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지난 시간동안 이 인력들이 다른 부서에서 일 했을 경우 더 큰 능력을 발휘할 수도 있었을텐데 아쉽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부서별 사업계획을 세우는 데에도 어려움이 크다”며 “농협 구성원들이 느끼는 피로감이 극에 달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