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포항공대 정성기 교수 연구팀이 뇌종양 생쥐를 대상으로 치료 약물을 경구(입) 투여한 결과 종양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항암제 파클리탁셀을 소르비톨(당질의 일종) 근간의 약물전달체와 합성해 혈뇌장벽을 통과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21세기프론티어사업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단 지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 중 뇌종양 질환 동물모델에 대한 전문적 실험은 성균관대 의대 남도현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혈뇌장벽은 뇌 모세혈관 사이의 일종의 보호 장치로 분자(치료약물) 투과성이 매우 낮은 특수 세포막 구조로 이뤄져 있다.
일반적으로 뇌종양 치료의 경우 약물이 이 혈뇌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없어 외과적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에 의존해왔으나 정 교수팀이 개발한 방법을 활용하면 약물치료도 가능할 것으로 의료계는 전망했다.
정 교수는 “뇌종양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나 헌팅턴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영국화학회 저널 ‘메드켐콤’ 인터넷판 2월11일자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