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제258차 '원자력위원회'를 개최하고 최근 일본 원전사고에 따른 국내 원전의 안전관리 대책과 정책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원전 부지별 해당 주변 주민과 민간 환경감시기구의 의견 청취 및 원전 사업자의 의견 개진 기회를 주기로 했다. 또한 정밀진단이 필요할 경우에는 해당 원전을 가동 중단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원전 점검을 통해 확인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선과 보완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오는 4월 22일까지 국내 21개 모든 원전 및 연구로, 핵주기시설 등 주요 원자력 시설에 대한 총체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며, 20년 이상 가동중인 원전을 중점 확인하는 한편 방사선 피폭 등 사고에 대비한 비상대응체계도 점검한다.
특히 이번 점검에서는 지진 발생에 이은 대형 해일, 전력 차단, 대형 원전사고로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김 총리는 "일본 원전사고의 시사점을 심층 분석하고 안전 점검 결과를 토대로 완벽한 안전대책을 마련토록 해야 한다"며 "원전 안전점검 및 대책을 새롭게 재설계한다는 각오로 충실하게 점검하고 그 결과를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 신뢰를 얻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