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5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일본 지진 관련 농식품 수출 영향 및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일본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농식품 수출업체들이 피해 품목의 수출 단가가 하락하거나 수출이 중단돼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을 경우 대출해 준 정책자금의 상환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대일 농식품 수출업체의 유동성 악화 및 경영 부실화를 막는다는 방침이다.
올해 ‘농식품 수출업체 운영활성화자금(이하 운영활성화자금)’은 모두 3652억원이다. 정부는 이 운영활성화자금으로 농협중앙회와 농수산물유통공사(aT)를 통해 농식품 수출업체들에 정책자금을 대출해 주고 있다.
피해 정도에 따라 사업의무량 미이행 업체에 대한 제재(위약금 부과)도 면제된다.
정부는 피해 상황에 따라 긴급 경영안정지원 자금 대출도 추진하기로 했다.
운영활성화자금으로 이미 정책자금을 대출해 준 대일 화훼류 수출업체가 일본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추가로 자금을 지원한다. 재원은 운영활성화자금 중 수시자금(올해 100억원)으로 마련하는데 예산 부족 시 추가 자금 확보도 추진된다.
정부는 대일 수출 감소 품목들의 수출기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하고 새롭게 기회가 열린 품목의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품목·지역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일본 판촉 지원이 추진된다.
파프리카는 지진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지진 피해지역에서 소비되던 수출물량의 유입으로 과잉공급이 예상됨에 따라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판촉 지원 확대가 추진된다.
정부는 이번달 중순부터 일본 지역 주요 5개 파프리카 수입업체들과 연계한 판촉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김치는 현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소포장 김치의 판촉을 강화해 김치수출입협의회와 연계해 자원봉사단을 구성한 다음 김치 활용 요리(지지미) 및 샘플을 제공하는 홍보 행사를 추진한다.
일본내 생산기반이 훼손된 품목에 대한 한국산 대체 공급도 추진된다.
대상품목은 신선채소(토마토, 딸기, 오이, 양배추, 가지, 멜론, 피망, 파프리카 등), 신선과실(사과, 포도, 배, 감 등), 양식 수산물(굴, 미역, 김 등)이다.
정부는 일본 대형유통업체 및 수입업체의 한국산 농산물 구입에 관한 문의에 적극 대응하고 품목 조정, 수출 및 사후관리까지 일괄해 바이어 지원을 할 계획이다.
대상 업체를 산지에 초청(4월 중순-8월)해 우리 농수산물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도 추진한다.
이 외에 정부는 일본 대지진으로 주요 수입국들이 일본산 수입을 기피하고 있는 것을 우리 농수산물의 수출을 확대하는 계기로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대일본 농림수산식품 수출액은 4억684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8%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