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산업, 작년 외화가득액 300억달러 돌파

  • 경기회복 영향 전년비 31% 증가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해운산업 외화가득액이 2년만에 300억달러대를 회복했다. 외화가득액은 특정 품목의 수출액에서 수출품의 제조를 위해 지출된 수입원자재나 연료 등의 합계액을 공제한 잔액을 말한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외화가득액(한국은행 통계기준)이 302억7000만달러를 달성해 지난 2008년 이후 2년만에 300억달러대를 회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09년 기록한 231억6000만달러에 비해 31% 증가한 수치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해운선사의 경영난 심화로 감소했던 외화가득액이 지난해 경기회복으로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해운산업은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총 수출액의 40% 내외를 차지하면서, 관세청 10대 수출품목 중 반도체, 핸드폰 등 주요 제조업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한편 외화가득액에 국내수입까지 포함한 매출액 기준(선주협회 통계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331억9000만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지난 1972년 1억달러에 비하면 40년만에 해운산업이 332배 규모로 성장한 수치다.

수출입물량의 99.8%를 운송하고, 철강·조선·항만 등 전후방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해운산업이 우리경제 성장에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보여준 해운산업의 일시적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긴장을 늦출 수는 없는 상황이라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특히 올해 들어 해운시황은 선박공급 과잉, 유가급등, 원자재값 급등과 기상이변에 따른 물동량 감소 등 영향으로 침체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 흑자를 냈던 주요 선사의 경영실적도 올해 1분기 다시 적자로 전환됐다.

이와 관련해 해운업계는 경영 여건악화에 대비해 감속운항, 연료 수급지 최적화, 노후선박 해체 등 원가절감과 수급조절을 위한 자구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에서도 안정적인 선박금융 지원을 통해 업계가 최근의 해운시장 침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선박펀드와 관련한 규제를 적극 완화하고, 구조조정기금 선박펀드도 계획대로 집행될 수 있도록 금융위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