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외화가득액(한국은행 통계기준)이 302억7000만달러를 달성해 지난 2008년 이후 2년만에 300억달러대를 회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09년 기록한 231억6000만달러에 비해 31% 증가한 수치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해운선사의 경영난 심화로 감소했던 외화가득액이 지난해 경기회복으로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해운산업은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총 수출액의 40% 내외를 차지하면서, 관세청 10대 수출품목 중 반도체, 핸드폰 등 주요 제조업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한편 외화가득액에 국내수입까지 포함한 매출액 기준(선주협회 통계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331억9000만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지난 1972년 1억달러에 비하면 40년만에 해운산업이 332배 규모로 성장한 수치다.
수출입물량의 99.8%를 운송하고, 철강·조선·항만 등 전후방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해운산업이 우리경제 성장에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보여준 해운산업의 일시적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긴장을 늦출 수는 없는 상황이라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특히 올해 들어 해운시황은 선박공급 과잉, 유가급등, 원자재값 급등과 기상이변에 따른 물동량 감소 등 영향으로 침체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 흑자를 냈던 주요 선사의 경영실적도 올해 1분기 다시 적자로 전환됐다.
이와 관련해 해운업계는 경영 여건악화에 대비해 감속운항, 연료 수급지 최적화, 노후선박 해체 등 원가절감과 수급조절을 위한 자구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에서도 안정적인 선박금융 지원을 통해 업계가 최근의 해운시장 침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선박펀드와 관련한 규제를 적극 완화하고, 구조조정기금 선박펀드도 계획대로 집행될 수 있도록 금융위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