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등 켜진 해운업계, 캠코에 SOS 요청

  • -주요 선사 CEO, 지난달 27일 장영철 캠코 사장과 만나 자금지원 요청 <br/>-캠코, 이달 초부터 기업 구조조정기금 5000억원 선박매입 사용<br/>-美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물동량 감소 예상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해운사들이 잇따라 정부 및 관련기관에 구조신호를 보내고 있다.

고유가와 선박공급 과잉, 운임하락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경기침체로 물동량마저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3년 전 ‘리먼쇼크’의 공포가 해운업계를 엄습하고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종철 STX그룹 부회장(한국선주협회장)을 비롯, 김영민 한진해운 사장, 이석희 현대상선 사장, 박재민 대한해운 사장, 김태균 흥아해운 사장 등 국내 주요 선사 수장들이 지난달 27일 장영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과 만나 해운업계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장영철 사장에게 캠코가 보유한 기업구조조정기금 5000억원을 선박매입에 써달라고 요청했다. 캠코가 운용하는 선박펀드는 지난 4월 기업구조조정기금 5000억원을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 지원금으로 책정되면서 중단됐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한 인사는 “국내 선사들의 어려움을 캠코 측에 전달했다”며 “장 사장도 해운업계 상황을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실제 캠코는 8월 초부터 기업구조조정기금 5000억원을 선박매입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선박 매입공고를 낸 이후 2주간 접수를 받는다. 캠코는 선박매입심의위원회를 통해 매입선박을 선정한다. 심사기준은 △선박의 경제성 △선령(선박의 나이)△장기용선계약 체결여부 등이다. 선령은 15년 미만이어야 한다.

해운사 CEO들은 앞서 지난 6월 29일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과 간담회를 갖고 해운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선박금융 활성화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종철 부회장은 이날 “해운업계도 위기 타개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금융 인프라 등이 취약해 한계가 있다”며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취약한 선박금융을 강화하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 해운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기사 등 핵심 해운 인력의 원활한 수급이 필요한 만큼 젊은층이 해운에 매력을 느끼고, 해운업에 오래 종사할 수 있는 여건을 정부 차원에서 마련해 줄 것도 제안했다.

이처럼 해운사들의 구조요청이 빈번해진 이유는 물이 턱밑까지 차올랐기 때문이다. 연초 t당 500달러 대로 예측한 벙커(선박연료유) 가격은 660~700달러로 치솟아 내려올 줄 모르고 있다. 선박공급 과잉에 따른 운임하락도 멈추지 않고 있다.

여기에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성수기할증료 부과를 통한 운임인상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아시아-미주항로의 주요 화주들이 물동량 감소를 이유로 운임인상에 강력하게 반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최근 불거진 미국 채무위기 등의 경제여건과 여전히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소비지출 등으로 과연 선사들의 운임인상이 성공할 수 있을 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