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가장 큰 수혜지로 불리며 가격이 급등한 전략정비구역은 향후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25일 서울시청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오 시장은 2009년 1월 한강공공성 회복선언과 함께 한강프로젝트(수변도시 조성), 유턴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성수·압구정·여의도·이촌·합정 등 한강변 일대를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 초고층 재건축사업을 추진한 것도 이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그러나 초고층개발과 공공기여에 따른 기부채납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구단위계획 등 개발일정이 지연돼왔다. 현재 해당지역 주민들은 무리한 기부채납을 가장 불만으로 삼고 있고, 반대로 시민단체와 야당은 해당지역에 대한 특혜라며 오히로 반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시장이 당선되면 한강프로젝트 전면 취소와 함께 전략정비구역 재건축사업도 일반재건축 형태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투자가치를 기대하고 해당 지구 부동산에 투자한 투자자들만 손해를 보게 됐다.
용산 서부이촌동 H중개업소 사장은 "1년반전에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됐을 때 가격이 몇천만원씩 뛴 후 사업이 지지부진해 가격은 제자리걸음"이라며 "사업 자체가 무효화되면 지역주민들과 투자자들에 대한 손해보상은 누가할 것이냐"고 말하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서울시가 강남 수요를 대체하고 강북을 개발하기 위해 2006년 발표한 유턴(U-turn) 프로젝트 역시 중간에서 멈출 수 있다. 당시에도 시는 이 프로젝트 일환으로 용산과 뚝섬 일대 개발계획을 발표했지만 강북지역 개발계획은 내놓지 않아 지적을 받았었다. 그러나 발표된 사업마저 아직도 제자리걸음이다.
그러나 강남재건축 사업은 시장이 바뀐다해도 큰 타격을 입지는 않을 전망이다. 재건축이나 용산프로젝트 모두 지자체 정책보다 정부 주택정책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사업들이다. 더구나 서울시의 경우 늘어나는 용적률에 대한 재건축 임대비율이 다른 시도보다 높게 이미 조례로 정해져 있다. 용적률 상향정책도 이미 추진된 곳이 많아 새 시장이 향후 이 부분을 규제하겠다고 나설 경우 재건축 조합원들로부터 강한 불만을 살 수 밖에 없다.
다만 성냥값 아파트를 없애겠다는 목표아래 아파트의 디자인을 강조, 공동주택 심의기준을 강화한 조치는 수정이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 다양화는 좋지만 분양가 상승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서다.
장기전세주택(시트프), 주택바우처 제도 등 오 시장의 대표적 주거복지사업과 공공관리제, 휴먼타운 추진 등도 수정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당시에도 오 시장과 맞붙었던 민주당 후보 한명숙 전 총리는 시프트의 실적이 저조한 점을 비판하며 “시프트보다 저소득층과 고령자를 위한 임대주택을 더 확대하겠다”고 밝혔었다.
공공관리제도 실적이 저조하고, 뉴타운 대안으로 내놓은 휴먼타운도 오 시장이 내놓은 방식이어서 수정될 가능성이 크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연구실장은 “현재 서울지역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이어서 당장 시장이 바뀐다고 큰 타격이 가해지지는 않겠지만 새로 뽑힐 서울시장이 속한 정당의 성향과 공약에 따라 향후 추이는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