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수는 최근 발간된 학술지 ‘한민족문화연구’ 제38집에 기고한 ‘새로 발굴된 추사 김정희 암행보고서’라는 논문에서 고서점을 통해 입수한 이 보고서를 해제하는 한편, 그 전문을 영인해 소개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이 자료는 김정희가 41세 때인 1826년(순조 26) 2월20일 충청우도 암행어사에 임명된 직후 110여 일 동안 충청우도와 경기도 일부를 암행하며 해당 고을 수령의 공과를 적어 같은 해 6월25일 조정에 올린 친필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전 2책으로, 제1책은 16장(28쪽), 제2책은 11장(22면)이며 1쪽당 9행, 1행당 24자 분량으로 내용을 수록했다.
이 보고서는 조선왕조 공식 기록 중 하나인 ‘일성록’에는 내용 전반이 수록돼 있긴 하지만 일부 표현에 차이가 보이는가 하면 기술 순서도 약간 다르고, 특히 보고서 서문 격인 서계(書啓)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라고 김 교수는 덧붙였다.
서계에서 김정희는 “읍내와 저자의 중요한 곳과 산골짜기와 도서지방 외진 곳까지 두루 찾아 특별히 내용을 수사하고 감찰한 결과 관리들의 선정 여부와 백성의 고락 등을 직접 보고 들은 것을 토대로 하되, 반드시 충분히 정확함을 기하고 나서야…삼가 보고드립니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보고서를 보면 선정을 펼친 관리에 대해서는 비교적 단순하고 명쾌한 짧은 문장을 구사한 반면, 문제가 많은 관리는 긴 문장으로 실례를 들어 구체적인 문제들을 적시했으니 암행어사로서 엄격한 감찰을 시행했음을 짐작게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