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물류 대란으로 이어지나?

지난 6월 22일 화물연대 총 파업 돌입 기자회견(자료사진=)

아주경제 이덕형 기자=민주노총산하 화물연대가 오늘 오전 7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생산 현장에 부품 공급 중단과 수출품 운송에 차질이 빚어 지면서 물류 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의 화물연대가 파업을 결의 한 지 4개월 만에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화물연대는 치솟는 기름 값과, 턱 없이 낮은 운송료 때문에 화물 근로자 대부분이 실업자나 빚쟁이로 전락했다며 생존권 확보를 위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이날 밝혔다.

특히 화물연대는 △표준운임제 법제화 △차주 운임 인상, 면세유 지급 △표준위수탁계약서 법제화, 노동기본권 보장, 산재보험전면적용 △도로법 개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지난번 파업 당시 정부가 약속한 사항을 아직까지 지켜지지 않고 있어 어쩔수 없이 파업에 들어 갔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번의 총파업은 지난 2003년과 2008년 이후 세 번째이며 화물연대 측은 기름 값을 낮추거나 운송료를 올려주는 등 현실적인 해결책이 나올 때 까지 파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파업 여파.. 물류 대란?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의 여파로 인해 생산 현장의 부품공급는 물론 생산품의 제품 출하 및 운송에 적지 않는 차질이 우려된다.

전국적으로 화물 자동차를 운행하는 근로자는 모두 38만명으로 추산되며 이 가운데 1만 2천명이 민주노총산하 조합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파업에 참가하는 화물연대의 근로자는 3% 수준이지만 조합원 상당수가 컨테이너 화물트럭 운전자라는 점에서 이들이 전면 파업에 나설 경우 물류 운송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또한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은 국내 컨테이너 수송량의 20%를 담당하고 있어 피해는 점차 커질 것으로 관련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의 화물 운송의 경우 각종 전자 제품의 부품과 완성품 그리고 수출 제품 등을 운송하는 주요 수단으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H 업체 관계자는 " 차량의 부품 등을 무진동 차량이나 혹은 컨테이너 등 화물 차량으로 운송을 하고 있는데 이번 파업으로 인해 부품 공급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중소 업체들의 자금 결재에도 문제가 생긴다"며 " 화물연대의 파업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파장도 만만치 않을것 같다"고 밝혔다.

▲ 물류 대란의 피해규모?

지난 2003년 화물연대가 2주간 파업을 하면서 11억 달러 가량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후 2008년 파업 당시에는 1만 3천여대 화물트럭이 일주일간 파업에 참여해 역대 최대인 56억 3천만 달러의 수출입 피해가 발생해 단일 파업 규모로는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화물연대의 파업기간이 길고 참여 인원이 많을 수록 국내 업체 들의 피해는 물론 수출 등의 차질이 우려된다.

한편, 정부는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과 관련해 화물연대가 주장하는 5가지 사항 중에 ‘표준 운임제 ’도입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켜졌다는 입장이다.

또한 정부는 이번 파업을 불법으로 보고 파업 참가자들에게 6개월 동안 유가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운전면허를 취소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