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통일부, 남은 정권 동안 무얼 할 수 있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22 18: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독일이 통일되기 얼마 전인 1990년, 독일을 방문해 현지 시민들에게 통일이 언제쯤 될 것 같으냐고 물으니 '글쎄요. 10년 안에 될까요?'라며 통일을 머나먼 일로 치부하고 있었다. 그런데 한국에 돌아와서 얼마 되지 않아 바로 독일이 통일됐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지난 17일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첫 후원의 밤 행사에서 축사를 통해 한 얘기다. 황 대표의 당시 발언은 현재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에게도 통일은 조만간에, 부지불식간에 다가올 일인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남북관계가 꽉 막혀 이명박 대통령의 남은 임기 내에는 할 일이 없어 보이는 통일부가 갑자기 통일을 대비해 기금 모으기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6월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통일재원을 모으기 위해 출범한 '통일생각'이 약정서나 구두로 약속한 성금까지 포함해 현재까지 3억원을 모았다. 특히 첫 후원의 밤 행사에서만 1억5700여만원을 모았다고 한다.

그러나 정부가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추산한 통일 직후 1년간 소요될 비용은 55조9000억~277조9000억원(중기형 시나리오 기준. 2030년 통일 가정)으로 최소 비용이 55조원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또 남북관계가 경색된 국면에서 모으는 통일기금이 이벤트처럼 보이는 것도 통일부가 보완해야 할 문제다. 다음 정부에서도 이 이벤트가 지속되느냐에 많은 국민들이 의문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통일부가 이명박 정부의 남은 기간 할 수 있는 일은 과연 통일 준비를 위한 항아리 홍보밖에 없는 것일까.

올해 말에 있을 우리 대통령선거에 북한의 개입 시도도 차단해야 하고, 최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대북접촉을 제안하고서도 이틀 동안 감추다가 북측의 보도로 드러나는 등 종종 비밀주의 식으로 일을 처리해 남북관계만큼이나 경색된 출입기자들과의 관계개선 등 과제는 산적하다.

다음달로 취임 1주년을 맞는 류우익 통일부 장관의 어깨가 무거워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