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지난 17일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첫 후원의 밤 행사에서 축사를 통해 한 얘기다. 황 대표의 당시 발언은 현재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에게도 통일은 조만간에, 부지불식간에 다가올 일인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남북관계가 꽉 막혀 이명박 대통령의 남은 임기 내에는 할 일이 없어 보이는 통일부가 갑자기 통일을 대비해 기금 모으기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6월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통일재원을 모으기 위해 출범한 '통일생각'이 약정서나 구두로 약속한 성금까지 포함해 현재까지 3억원을 모았다. 특히 첫 후원의 밤 행사에서만 1억5700여만원을 모았다고 한다.
그러나 정부가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추산한 통일 직후 1년간 소요될 비용은 55조9000억~277조9000억원(중기형 시나리오 기준. 2030년 통일 가정)으로 최소 비용이 55조원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또 남북관계가 경색된 국면에서 모으는 통일기금이 이벤트처럼 보이는 것도 통일부가 보완해야 할 문제다. 다음 정부에서도 이 이벤트가 지속되느냐에 많은 국민들이 의문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통일부가 이명박 정부의 남은 기간 할 수 있는 일은 과연 통일 준비를 위한 항아리 홍보밖에 없는 것일까.
올해 말에 있을 우리 대통령선거에 북한의 개입 시도도 차단해야 하고, 최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대북접촉을 제안하고서도 이틀 동안 감추다가 북측의 보도로 드러나는 등 종종 비밀주의 식으로 일을 처리해 남북관계만큼이나 경색된 출입기자들과의 관계개선 등 과제는 산적하다.
다음달로 취임 1주년을 맞는 류우익 통일부 장관의 어깨가 무거워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