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5/24/20130524000169_0.jpg)
아주경제(제주) 김진오 기자="SoC플랫폼 경쟁력, 유저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중국보다 우위를 점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권희원 LG전자 HE사업본부장(사장)은 24일 제주 해비치 호텔에서 열린 ‘2013 디지털케이블TV쇼’(KCTA)에서 ‘미래를 여는 기술’이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권 사장은 "스마트TV나 네트워크 기술 등에서 한국 기업만의 여러 경쟁력이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SoC와 디자인, 고화질에 따른 TV기술을 중국보다 선행해서 갈 수 밖에 없다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실제 방송 트렌드를 보면 현재 접하고 있는 울트라 HDTV 시대는 더욱 급격하게 다가올 것"이라며 "대형 화면 가격이 점점 떨어지는 것고 있고 고화질 아니면 콘텐츠를 즐길 수 없는 환경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플랫폼은 2~3년 뒤 HTML5 시대로 전환될 것"이라며 "이런 방향에서 제조사도 TV플랫폼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를 진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 사장은 "모든 플랫폼은 LG 유플러스의 tvG 같은 웹베이스 OS로 갈 것으로 보고 대비를 하고 있다"면서 "기존의 변화에서 케이블과 디바이스 업계, 콘텐츠 업계가 어떻게 상생하며 돈을 벌 수 있는가, 돈의 흐름 등을 잘 이용할 수 있는 방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권 사장은 이날 울트라HD가 창조하는 새로운 고객 경험을 소개하고, 차세대 방송시대에 산업계와 방송계의 협력방안 등을 제시했다. 그는 미래를 여는 키워드로 ‘S2R2’, ‘울트라HD서비스’를 언급하며 “사용하기 쉬운 스마트TV와 울트라HD 콘텐츠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결합해 사용자 경험의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권 사장은 “고객의 시청형태 변화에 따라 콘텐츠는 달라져야 한다”며 “미래 콘텐츠 서비스는 △검색(Searching) △공유(Sharing) △추천(Recommendation) △녹화(Recording) 등 4가지로 구성되는 ‘S2R2’ 중심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LG전자는 현대 HCN, CJ 헬로비전, C&M, CMB, 티브로드 등 국내 5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울트라HD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TV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LG전자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스마트TV를 활용한 울트라HD 서비스와 셋톱박스없는 방송서비스, 울트라HD 방송 가입자 확대를 위한 마케팅 등에서 상호협력 하기로 했다.
특히, LG전자는 SO와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의 하나로 ‘케이블 빌트인 울트라HD 스마트TV’를 제시했다. 이 제품은 셋톱박스 지원없이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울트라HD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LG전자는 행사장에 전시 부스를 마련해 55형(인치)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와 84형 UHD TV, 구글TV 등 첨단 제품들을 선보여 관심을 끌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