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6월 주택 인허가·착공 실적 감소… 분양·준공은 증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7-28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기침체 영향 공급 부족 우려<br/>도시형생활주택 공급량 주춤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장기간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주택 인허가 실적이 올 들어 6개월째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주택 착공실적도 2개월 연속 줄어들면서 향후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공동주택 분양 실적은 서울·수도권 택지지구 분양이 대거 진행돼 증가세를 보였다. 준공 실적은 지방 혁신도시 준공 등 영향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주택 인허가실적. <자료: 국토교통부>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인허가 실적은 3만8208가구로 전년 동월보다 24.4% 감소했다. 올 상반기 누적 인허가 실적은 전년 동기(23만8465가구)보다 24.4% 줄어든 18만263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 1만6570가구, 지방 2만1638가구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26.4%, 22.8% 줄었다. 서울이 같은 기간 6865가구에서 6809가구로 소폭 감소했고 인천은 6304가구에서 2239가구로 64.5% 급감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만9956가구로 전년 동월(3만610가구)보다 34.8%, 아파트외 주택은 1만8252가구로 8.4% 각각 감소했다. 공급 주체별로는 민간(3만6495가구)이 18.0%, 공공(1713가구) 71.6% 각각 줄었다.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은 8032가구로 1년 전보다 26.8% 줄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상반기 누계 기준으로도 33.7% 줄어든 수준이다.

주택 착공실적. <자료: 국토교통부>
착공실적은 전년 동월(5만3476가구)보다 36.0% 감소한 3만4233가구로 조사됐다. 서울·수도권(1만7273가구)과 지방(1만6960가구)이 각각 34.9%, 37.1% 줄었다. 서울(4771가구)과 인천(4649가구)은 각각 11.1%, 492.2% 증가한 반면, 경기도(7853가구)가 63.4%나 줄었다.

아파트가 2만572가구로 1년새 40.2% 줄었고 아파트외 주택은 28.4% 줄어든 1만3661가구 착공에 그쳤다. 공공물량은 1491가구로 93.0%나 감소한 반면 민간은 3만2724가구로 2.1% 증가했다.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 <자료: 국토교통부>
공동주택 분양 승인 실적은 전국 4만221가구로 전년 동월(3만2081가구)보다 25.4% 늘어나 올해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울·수도권 분양실적은 가재울뉴타운4구역(4300가구), 경기도 일산(2404가구)·김포풍무(2712가구) 등 공급에 힘입어 전년 동월보다 103.9% 늘어났다. 지방은 1만9422가구로 11.2%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분양(2만7066가구)이 0.2% 소폭 증가했고 임대(8784가구)·조합(4371가구)은 각각 132.1%, 239.1% 급증했다. 민간 물량은 3.3% 증가한 2만2655가구, 공공은 103.1% 증가한 1만7566가구로 집계됐다.

주택 준공실적. <자료: 국토교통부>
주택 준공실적은 지난해 6월 3만6601가구보다 8.2% 증가한 3만9616가구로 나타났다. 5월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울·수도권(1만5264가구)이 전년 동월대비 11.5% 감소한 반면 지방(2만4352가구)은 광역시와 강원·충북·경북혁신도시 등에서 준공이 몰려 25.9% 증가했다.

아파트(2만5668가구)가 전년 동월대비 16.8% 증가했고 아파트외 주택(1만3948가구)은 4.6% 감소했다. 민간물량(3만3349가구)은 전년 동월대비 5.1% 감소했고 공공(6267가구)은 329.5% 급증했다. 도시형생활주택 준공실적은 6279가구로 전년 동월보다 15.8%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오는 8~10월 입주 예정 아파트는 서울·수도권 1만6713가구, 지방 2만7340가구 등 총 4만4053가구로 나타났다. 서울은 5357가구가 입주를 진행한다. 월별로는 8월 1만952가구, 9월 1만4343가구, 10월 1만8758가구다.

주택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60㎡ 이하 1만5278가구, 60~85㎡ 2만1479가구, 85㎡ 초과 7296가구로 중소형 주택이 83.4% 차지했다. 주체별로는 공공 5534가구, 민간 3만8519가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