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정보유출로 3개월간 신규 영업이 전면 중단돼, 영업인력 재배치 및 이들에 대한 임금 보전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하기 때문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들 3개 카드사는 최근 영업정지를 앞두고 카드모집인 등 영업인력에 대한 긴급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영업정지가 시작되면 3개월 동안 신용·체크카드회원 신규 모집, 카드 대출 서비스 등이 전면 금지된다.
특히 발급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받아 왔던 카드모집인들은 당장 생계에 위협을 받게 돼, 이에 대한 대책이 불가피하다.
현재 이들 3개 카드사의 카드모집인은 4000여명으로, 롯데카드 2000명, 국민카드 1200명, 농협카드 700명 수준이다.
3개월간 영업정지가 이뤄지면 이들 모집인은 1인당 약 1000만원 가량의 손실분이 발생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현재 금융당국도 이들 카드사에 대해 영업정지 기간 동안 불필요한 인원 감축을 자제하라고 권고한 상태다.
카드사 입장에서도 이번 영업정지로 모집인 조직을 잃지 않도록 다양한 유인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임금보전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이렇다할 해법을 찾지 못한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모집인 조직은 카드사의 영업인프라이기 때문에, 한 번 무너지면 복귀가 굉장히 어려워 회사 자체에서는 큰 손실일 수밖에 없다"며 "각 카드사들이 영업정지 기간동안 모집인들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중에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영업정지 기간동안 모집인들이 타 카드사로 이직을 하게 되면, 3개 카드사가 추후 조직을 다시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영업정지 후 재개하는 시간과 비용이 배로 소모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내부적인 조직개편도 불가피해 보인다. 일부 카드사는 이번 사태 수습을 위해 3개월간 영업 일선의 조직을 타 부서로 총동원하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우선 신규영업과 관련된 부서 및 조직원들을 재배치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현재 텔레마케터(TMR) 인력을 모두 인바운드 업무로 돌린 상태고, 아직 카드사태가 완전히 안정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또다른 합리적인 대책을 찾아 조속히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