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텐더홀에 있는 우남 이승만 박사나 해공 신익희 선생의 동상, 제헌 국회의원 청동 부조물 등은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곳에 있는 볼 거리들은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국회에서 근무하는 직원이나 기자들도 행동 반경이 일정 하다보니 잘 모르는 전시물도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게 호랑이 박제입니다. 국회 5층 중앙에는 큰 유리 상자 안에 호랑이 박제가 전시돼 있습니다.

[사진=김도형 기자]
호랑이 박제를 기증한 이유가 궁금해 박명환 전 의원과 연락을 시도했습니다. 박 전 의원은 19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아 그게 제가 처음 국회의원이 됐을 때 기증을 한 거예요. 호랑이는 민족의 영물이잖아요. 제가 갖고 있는 것보다는 국회에 기증하는 것이 좋겠다고 해서 기증을 한 거예요. 호랑이는 기상이 제일 강한 동물이고 아무리 배가 고파도 풀을 먹지 않는 동물이잖아요. 우리 의원들도 의정활동을 펼치는데 아무 거나 먹고 아무 거나 좋아하고 그러면 안 되니까 호랑이의 기상으로 의정활동을 해달라고 기증한 거예요."
해당 호랑이 박제는 박 전 의원의 부친이 입수해 와 오래동안 집안에서 보관하고 있던 것이라고 합니다. 박 전 의원은 후배 의원들에게 "항상 호랑이의 기상으로 정의의 편에 서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김도형 기자]
국회는 이날도 공전을 계속했습니다. 선거제 개편안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법, 검·경 수사권 조정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두고 벌어진 충돌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핵심은 결국 선거제 개편안입니다. 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은 지역구 225석 + 비례대표 75석, 50% 준연동율 등을 골자로 하는 안을 만들었는데, 자유한국당은 물론 바른미래당 내에서도 불만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누더기 선거제라는 비판의 목소리와 한국당의 기득권 챙기기라는 양측의 의견이 강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무 거나 주워 먹으면 안 된다"는 박 전 의원의 비판을 국회의원들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사진=김도형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