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민들 "지진 원인 밝혀져 다행"…지열발전소 폐쇄 촉구

  • 지진 관련 단체들...손해배상 청구 줄 소송 예고

  • 이강덕 포항시장 "더 안전한 포항 만들겠다"...21일 공식 입장 발표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지질학회 주최로 열린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에 관한 정부조사연구단 결과발표 기자회견' 장면. [사진=경상북도 제공]


지난 2017년 11월 15일 경북 포항에서 일어난 규모 5.4 지진이 포항지열발전소가 촉발했다는 정부조사연구단 발표에 포항시민들은 "원인이 규명돼 그나마 다행"이라며 환영했다.

포항시민 박모(56)씨는 "그동안 지진 때문에 불안했는데 이번 정부 발표로 자연지진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져 다행이지만 계속 지진이 일어나지 않을까 다소 불안감도 있다"며 "지열발전소를 폐쇄하고 빠른 시일 내 원상복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의 정당들도 지열발전소를 건립하고 운영한 데 따른 정부와 관련 기관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김정재 국회의원(포항북)은 "포항이 지진 도시가 아니고 안전한 도시란 점에 시민 모두 한마음으로 기뻐해도 될 것 같다"면서 "누가 왜 지열발전소를 시작했는지는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조사연구단에 자문위원으로 참가한 양만재 시민대표는 "정부가 지열발전으로 지진이 63회 발생한 것을 포항시민에게 숨겼다"며 "넥스지오와 학자도 주민에게 지진 발생에 따른 위험을 사전에 알리지 않은 책임이 있다"고 성토했다.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지질학회 주최로 열린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에 관한 정부조사연구단 결과발표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 독도사랑·포항지진 시민연대 회원들이 지열발전소 폐쇄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D/B]


포항지진이 자연지진이 아니라 포항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촉발했다는 결과가 나옴에 따라 포항지진 관련 단체들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줄을 이을 전망이다.

포항에는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을 비롯해 포항지진범시민대책본부, 지열발전과 포항지진 진상규명 및 대응을 위한 포항시민대책위원회, 한미장관맨션지진피해비상대책위원회, 흥해완파주택공동대책위원회 등 관련 단체가 분산돼 있다.

각 단체는 정부 발표와 관련해 자체 회의를 열어 향후 대응 방안을 정하기로 했다. 이미 포항지진범시민대책본부는 지난해 10월 국가를 상대로 유발지진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범시민대책본부는 소송을 내면서 "지진 직접 원인을 유발한 포항지열발전소와 지열발전 프로젝트를 주관하고 예산을 지원한 국가 등에 대규모 손해배상 책임을 묻기로 했다"며 "지진 피해는 주택파손 등 물적 피해를 제외하고 1인당 1일 위자료로 5000∼1만원을 청구했다"고 설명했다.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도 시민대표 등 약 100명이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내기로 했다.
 

포항지열발전소 전경. [사진=아주경제 D/B]


정부조사연구단 결과 발표와 관련,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을 더 안전한 도시로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포항이 지진으로 불안전한 도시란 얘기를 들었는데 이번 정부 조사 결과발표로 안전한 도시란 것이 확인됐다"며 "이 점이 크게 다행스럽고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열발전소는 국책사업으로 진행됐고 지열발전소로 인해서 지진이 일어났다고 밝혀진 만큼 그동안 시민이 입은 엄청난 손해 문제와 관련해 실질적이고 신속한 배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며 "정부는 당장 지열발전소를 폐쇄하고 압력을 빼내는 등 원상복구를 포함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포항시는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