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공개된 기록물은 조선총독부 내무국 사회과에서 1940년 작성한 '노무자원 조사에 관한 건'이라는 이름의 문건과 조선인강제동원 관련 기록물 수집가였던 故 김광렬 선생이 지난해 2017년 국가기록원에 기증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문서와 사진, 도면 등 총 2,337권 중 일부 기록의 원본이다.
'노무자원 조사에 관한 건'은 조선총독부가 동원 가능한 노동력 파악을 위해 1940년 3~9월 각 도에 시달하고 회신 받은 공문과 취합된 통계자료가 포함돼 있다. 공개된 문서에는 해당 도에서 동원 가능한 인력과 직업을 바꾸고자 희망하는 인력을 성별·연령별로 나누어 조사한 현황이 포함돼 있다. 남성의 경우 25~45세 사이, 여성은 12~19세까지를 조사·보고하도록 했다.
노영종 국가기록원 정책기획과의 학예연구관은 "여성의 연령대가 10대 초반에서 후반으로 상당히 특이한데, 연령대가 일본부 위안부 피해자들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조사 계획이 위안부 동원을 염두에 뒀던 것이 아닌가 개인적으로는 추정해보기도 했다"고 밝혔다.
당시 문건에는 조사결과 동원 가능인력은 남자 92만 7536명, 여자 23만 2641명 등 총 116만 17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시 조선총인구의 5%에 해당하는 것이며, 어린이와 노인, 20살 이상 여성을 제외하면 무려 당시 총 인구의 10%에 달한다.
노 연구관은 "(문서에서) 내지의 노동동원계획이 언급된 부분을 통해 조선총독부의 노동력조사가 강제동원과 연결돼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또 1941년이 되면 일본이 작성한 노무동원계획에 포함된 조선인 동원자 수가 (직업을 바꾸고자 하는) 희망자 수를 넘어선다"면서 "이는 일제의 조선인 동원이 강제적으로 수행됐던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 기록은 그동안 학계 연구논문으로 발표가 된 바 있지만 일반 국민에게는 처음으로 공개된 것이다.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일제가 조선인 강제동원을 위해 사전에 얼마나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준비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라고 밝혔다.
이날 국가기록원은 故 김광렬 선생의 기증기록물인 ▲가이지마 오노우라 제 6·7갱 탄광직원 명부 원본과 관련 사진 ▲명부 수집 경위가 기록된 '김광렬 선생 일기(1976.7~8) 원본 등도 공개했다.
가이지마 오노우라 제 6·7갱 탄광직원 명부에는 1900~50년대 탄광직원 인적사항 등이 기록돼 있다. 명부에 기록된 이들은 8486명 중 1896명이 본적기준으로 조선인으로 추정된다고 국가기록원은 밝혔다.
명부에는 이들의 이름, 생년월일, 본적, 호주, 가족관계, 고용시기를 비롯해 도주·사망·귀국 등 해고사유도 상세히 적혀있다. 명부에는 부산 출신의 15살 여성도 포함돼 있었으며, 본적이 조선이지만 이름은 일본식으로 표시된 이들도 상당수 보였다. 허광무 일제강제동원 평화원구회 연구위원은 "명부에는 해고 사유에 '도주'로 적혀있는 이들도 있다"면서 "정상적인 고용관계에서 도주가 일어나기는 쉽지 않으며, 도주한 노동자들은 강제동원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故김광렬 선생의 기증 기록물 중 강제동원 근로자명부, 건강보험대장, 공상원부 등 284권에 수록된 약 14만명에 달하는 근로자들의 인적사항을 연내 국가기록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가이지마 오노우라 탄광 7갱에서 작업하고 있는 조선인 인부들 [사진=국가기록원 ]

1940년 조선총독부가 작성한 '노무자원 조사에 관한 건' [사진=국가기록원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