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은 이날 고위급 무역협상 대표단 간의 전화통화 이후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2일 성명을 통해 류허 중국 부총리와 미국측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등이 전날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중미 양측은 각자의 핵심 관심사를 잘 풀어가는 데 진지하고 건설적인 논의를 진행해 원칙적 공감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날 양국 간 통화에서 중국 측에서 중산(鐘山) 상무부장, 이강(易綱) 인민은행장, 닝지저(寧吉喆)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부주임도 참여했다.
미국 USTR도 성명을 통해 미중 고위급 대표단 간의 전화통화 사실을 확인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진전이 있었으며, 미해결 이슈들을 해결하는 과정에 있다"고 밝혔다.
USTR은 또 "차관급 레벨에서 논의가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류허 부총리(가운데)와 미국의 스티븐 므누신(오른쪽) 재무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지난 10월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과 중국 간 고위급 무역협상을 시작하기 전 취재진을 향해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AP·연합뉴스]
다만 당시 합의는 공식 문서 서명으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양측은 당초 11월 칠레에서 열릴 예정이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간에 공식 서명을 위해 후속 접촉을 이어 왔다.
그러나 칠레가 최근 국내 시위사태를 이유로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전격 취소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1단계 합의 서명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트위터를 통해 칠레에서의 APEC 정상회의 취소 후 "1단계 합의 서명을 위한 새로운 장소 선정 작업을 하고 있다. 곧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이 '1단계 합의'와 관련한 후속 협의를 지속하고 있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간의 최종 서명에 앞서 여전히 마무리해야 할 사항들이 남아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USTR의 성명에 대해 "원칙적 공감대를 달성했다"는 중국측의 발표에까지는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미·중 '1단계 합의'의 일환으로 미국은 당초 지난달 15일부터 예정했던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관세율 인상(기존 25%→30%)을 보류했다.
중국은 대량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미국 측 주장에 따르면 그 규모가 400억~500억달러(약 47조4000억~59조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