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유튜브(구글)와 페이스북, 트위터 등 해외 기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한 허위 정보에 대응한다고 28일 밝혔다.
구글은 이날부터 유튜브에서 정보패널을 활용해 '코라나바이러스' 검색 시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코로나19 마이크로페이지(이하 중수본 공식페이지)가 연계되도록 했다.
구글 검색엔진에서도 ‘코로나19’ 등 관련 키워드 검색 시 SOS 경보 형태로 중수본 공식페이지를 우선 노출하도록 서비스를 개편했다.
트위터에서도 ‘코로나19’ 등 관련 키워드 검색 시 중수본 공식페이지 링크를 우선 노출된다.
페이스북은 지난 26일부터 코로나19 관련 감염 예방, 치료를 보장하는 허위·과장광고나, 특정 상품의 공급부족을 암시해 위기감을 조성하는 내용의 광고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추가적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구글은 이날부터 유튜브에서 정보패널을 활용해 '코라나바이러스' 검색 시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코로나19 마이크로페이지(이하 중수본 공식페이지)가 연계되도록 했다.
구글 검색엔진에서도 ‘코로나19’ 등 관련 키워드 검색 시 SOS 경보 형태로 중수본 공식페이지를 우선 노출하도록 서비스를 개편했다.
트위터에서도 ‘코로나19’ 등 관련 키워드 검색 시 중수본 공식페이지 링크를 우선 노출된다.

[사진=방송통신위원회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