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보험사들이 실손의료보험에서 2조5000억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부담금이 없어 과징진료 우려가 높은 1세대 구(舊)실손보험 계약을 다수 보유한 손해보험사의 적자 폭이 전년 대비 확대됐다. 실손보험의 손해율과 사업비율을 합친 합산비율 역시 100%를 크게 상회했다.
28일 금융감독원의 실손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생명·보험사의 실손보험 적자액은 2조5008억원으로 전년(2조5133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업권별로 보면 1세대 실손보험을 다수 보유한 손보사의 적자액이 전년 대비 0.6%(149억원) 증가한 2조369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생보사는 전년 대비 17.3%(274억원) 개선된 1314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손보사의 작년 실손보험 보유계약수는 전년 대비 59만건 증가한 2871만건이었다. 이 기간 생보사는 5만건 감소한 625만건의 실손보험 계약을 보유하고 있다.
상품별로 보면 자기부담금이 없는 1세대 실손보험의 손실액이 가장 많았다. 보험사의 1세대 손실보험의 손실금액은 1조283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2세대(1조1417억원), 3세대(176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자기부담비율이 높은 노후실손보험과 유병력자 실손보험의 경우 각각 17억원, 997억원의 영업이익을 보였다.
합산비율 역시 100%를 크게 상회했다. 합산비율은 발생손해액과 실제사업비를 보험료 수익으로 나눈 수치로, 이 수치가 100%를 넘으면 보험사는 상품을 판매할수록 손실을 기록한다.
작년 보험사의 실손보험 합산비율은 전년 대비 1.8%포인트 개선된 123.7%를 기록했다. 생보사의 합산비율은 전년 대비 2.2%포인트 하락한 107.1%였다. 손보사는 1.5%포인트 낮아진 127.3%였다.
상품 종류별 합산비율을 보면 자기부담금이 없고 비급여 과잉진료 등 보험금 누수가 많은 1세대 상품이 136.2%(전년 대비 3.7%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이어 2세대(120.6%), 3세대(115.0%)였다. 도덕적 해이 방지 등을 위해 자기부담비율을 높게 설정한 노후실손(90%)과 유병력자실손(64%)은 100%를 하회했다.
이 기간 보험사의 실손보험 수익은 전년 대비 6.8% 증가한 10조5469억원이었다. 상품별 비중은 2세대가 52.4%로 가장 컸다. 이어 1세대(33.6%), 3세대(11.2%) 순이었다. 총 실손보험 가입자 수는 3496만건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 자기부담비율이 낮은 1·2세대 가입 계약 중 3세대 상품으로 전환된 계약의 전환 전·후 1년간 지급보험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급보험금이 전환 전보다 32.3% 감소했다"며 "특히 사고이력이 있는 가입자의 경우 전환 후 지급보험금은 전환 전보다 54.1% 줄었다"고 설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8일 금융감독원의 실손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생명·보험사의 실손보험 적자액은 2조5008억원으로 전년(2조5133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업권별로 보면 1세대 실손보험을 다수 보유한 손보사의 적자액이 전년 대비 0.6%(149억원) 증가한 2조369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생보사는 전년 대비 17.3%(274억원) 개선된 1314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손보사의 작년 실손보험 보유계약수는 전년 대비 59만건 증가한 2871만건이었다. 이 기간 생보사는 5만건 감소한 625만건의 실손보험 계약을 보유하고 있다.
상품별로 보면 자기부담금이 없는 1세대 실손보험의 손실액이 가장 많았다. 보험사의 1세대 손실보험의 손실금액은 1조283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2세대(1조1417억원), 3세대(176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자기부담비율이 높은 노후실손보험과 유병력자 실손보험의 경우 각각 17억원, 997억원의 영업이익을 보였다.
합산비율 역시 100%를 크게 상회했다. 합산비율은 발생손해액과 실제사업비를 보험료 수익으로 나눈 수치로, 이 수치가 100%를 넘으면 보험사는 상품을 판매할수록 손실을 기록한다.
작년 보험사의 실손보험 합산비율은 전년 대비 1.8%포인트 개선된 123.7%를 기록했다. 생보사의 합산비율은 전년 대비 2.2%포인트 하락한 107.1%였다. 손보사는 1.5%포인트 낮아진 127.3%였다.

[자료=금융감독원]
상품 종류별 합산비율을 보면 자기부담금이 없고 비급여 과잉진료 등 보험금 누수가 많은 1세대 상품이 136.2%(전년 대비 3.7%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이어 2세대(120.6%), 3세대(115.0%)였다. 도덕적 해이 방지 등을 위해 자기부담비율을 높게 설정한 노후실손(90%)과 유병력자실손(64%)은 100%를 하회했다.
이 기간 보험사의 실손보험 수익은 전년 대비 6.8% 증가한 10조5469억원이었다. 상품별 비중은 2세대가 52.4%로 가장 컸다. 이어 1세대(33.6%), 3세대(11.2%) 순이었다. 총 실손보험 가입자 수는 3496만건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 자기부담비율이 낮은 1·2세대 가입 계약 중 3세대 상품으로 전환된 계약의 전환 전·후 1년간 지급보험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급보험금이 전환 전보다 32.3% 감소했다"며 "특히 사고이력이 있는 가입자의 경우 전환 후 지급보험금은 전환 전보다 54.1% 줄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