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의대생들 속속 복귀…수업 거부 여부가 변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주혜린 기자
입력 2025-03-30 15: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빅5·국립대' 의대생 사실상 전원 복귀

사진은 30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330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30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3.30 [사진=연합뉴스]
의대생들이 복귀 마감을 앞두고 속속 돌아오면서 집단휴학 사태가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30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경희대·충북대는 이날,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카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는 31일 등록·복귀 신청을 마감한다. 지난 21일 연세대(서울·원주), 고려대, 경북대, 차의과대(의학전문대학원)를 시작으로 이어져 온 전국 의대생 복귀 신청이 거의 마무리된다.

주요 의대에서 전원이 등록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연세대를 시작으로 서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울산대 등 이른바 '빅5' 의대생들은 사실상 전원 복귀했다. 고려대도 80% 이상 등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대, 성균관대에서도 학생들이 '전원 복학'으로 뜻을 모았다. 충남대 의대생들도 전원 복귀했으며 이 밖에 지방국립대 의대생들 역시 전원에 가까운 인원이 돌아올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31일 전국 의대생 복귀 현황을 취합해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한 뒤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다. 전체 복귀자 수를 정리하면 이를 '전원'으로 볼지 판단한다. 교육부는 전원에 대한 의미는 100%가 아니며 정상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교육 현장에 복귀한다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하겠다고 약속했다. 교육부는 이미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대학 총장이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인하대 등 일부 의대는 여전히 미복귀자가 다수지만 결국 '대세'를 따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로써 작년 2월부터 이어져 온 의대생 집단휴학 사태가 종지부를 찍고 의대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의대생들이 등록은 했지만, 이후 '수업거부'를 하는 등 변수가 있을 수 있다. 서울대, 연세대 등 일부 의대 학생회는 기존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휴학·수업 거부로 투쟁 방식을 변경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복귀한 뒤 수업을 거부할 때에는 정상 수업이라고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학들은 학생들이 등록만 하고 수업을 거부하면 유급이나 제적 등 학칙에 따라 처리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2개의 댓글
0 / 300
  • 어떤 입장을 가졌어도, 욕구불만은 존재할것.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 미국같은 자유 민주주의 나라에도 학벌 존재합니다. 동아시아나 서유럽은 대학 역사가 오래되어, 세계사나 국사, 국제법.헌법.주권등을 종합하여 자격이 존중됨.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 서강대는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이 뒤로 倭서울대.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학벌없지만, 미군정때 성균관 약탈하기 위한, 하위법과 대중언론.사설입시지때문에, 다른 대학들이 서울대 이기기 어려울것. 대중언론 과정으로 보면 주권.학벌없는 서울대 뒤 연세대,고려대,이화여대.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