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9일(현지시간) 대선 출마 선언 후 미국 현지에 진출해 있는 중소 자동차부품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본격적인 방미 일정을 시작했다.
이번 방미는 미국의 25% 추가관세 부과 방침에 따른 중소 수출기업의 절박한 호소에서 비롯됐다. 지난 3월 31일 김 지사가 참석한 ‘평택항 자동차 수출기업 현장간담회’에서, 포드·GM·스텔란티스 등 미국 빅3 완성차 기업에 납품 중인 한 부품업체 임원이 "4월 2일부터 약 100억 원 규모의 관세를 부담하게 되며, 이로 인해 도산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한 것이 계기가 됐다.
김 지사는 해당 간담회에서 부품업계의 어려움을 청취한 직후, 미시간 주정부와의 접촉을 지시했다. 이후 경기도는 발빠르게 대화 채널을 가동했고,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가 김 지사의 회담 제안에 흔쾌히 응하면서 이번 방미 일정이 결정됐다.
디트로이트 도착 직후 첫 일정으로 김 지사는 현지 진출기업인 ‘광진아메리카’를 방문해 임직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광진아메리카는 GM으로부터 총 22차례 우수부품 공급업체로 선정된 바 있는 대표적인 수출기업으로, 최근 관세 직격탄에 따른 고충을 전하며 경기도의 실질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어 “절실하고 진실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왔다”며 “제가 있는 위치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직원들은 간담회에서 “연방정부가 아닌 주정부 차원의 조치만으로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세금 감면, 투자 유인 등의 방안을 통해 관세 부담을 완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10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랜싱에서 휘트머 주지사와 공식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에 앞서, 관세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경기도와 현지 진출 7개 자동차 부품기업이 참여하는 ‘관세 민관 공동대응 라운드테이블’도 개최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정부와 정치권이 이 문제에 손을 놓고 있어, 우리 경제에 죄를 짓고 있는 것 같다. 지금이야말로 지방정부가 직접 뛰어야 할 때"라며 "자동차 문제에 경기도와 미시간주가 협력할 일이 많은데 제가 있는 위치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