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쌀값 폭등에…韓, 판매용 쌀 22t 수출 추진

  • 1990년 이후 35년 만에 최대 물량

  • "통관 등 거쳐 5월 중순쯤 판매 예정"

일본 한국 농협에서 판매된 한국산 쌀 사진일본 한국 농협 홈페이지 갈무리
일본 '한국농협'에서 판매된 한국산 쌀. [사진=일본 '한국농협' 홈페이지 갈무리]

쌀값 폭등이 계속되고 있는 일본이 판매용 쌀 22t을 한국에서 수입한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35년 만에 최대 물량이다.
 
21일 일본 FNN방송 등에 따르면 농협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날 “지난달 쌀 2t을 일본으로 수입해 이번 달에 판매했다”며 “내달 중에 10t을 더 들여올 예정이고, 추가로 10t의 수입 시기 등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협인터내셔널은 농협경제지주 자회사인 NH농협무역의 일본 지사로, 1999년 설립 이후 이번에 처음으로 쌀을 한국에서 수입했다.
 
농협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일본 쌀값 급등과 한국 쌀 소비 촉진 운동 등을 계기로 수입을 결정했다"며 "추가 물량 10t은 선적이 완료됐고, 통관 등을 거쳐 5월 중순께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0일 일본에 수출한 2t 분량의 한국산 쌀은 '한국농협' 홈페이지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 도쿄 내 코리아타운인 신오쿠보 슈퍼 등에서 판매됐다. 이달에 팔린 쌀은 전남 해남군 옥천농협에서 생산한 땅끝햇살 브랜드로 모두 완판됐다.
 
농협인터내셔널이 운영하는 홈페이지 기준 한국산 쌀의 배송료 포함 가격은 10㎏이 9000엔(약 9만원), 4㎏이 4104엔(약 4만1000원)이다. 일본 슈퍼에서 팔리는 쌀 가격이 5㎏에 4000엔대 초반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격 경쟁력이 있는 편은 아니다.

농협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당 관세 341엔(약 3400원), 통관 비용, 일본 내 운송비 등을 포함해 가격을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산 쌀이 일본에 판매된 것은 2011년과 2012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구호용을 제외하면 매우 이례적인 사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한국은 2011∼2013년, 2016년에 각각 쌀 10t가량을 일본에 수출했다. 2011년께는 동일본대지진으로 구호용 쌀을 일본에 보낸 것으로 추정되지만, 수출 물량의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다고 aT 측은 설명했다.
 
지난해 여름까지만 해도 안정세를 보이던 일본 내 쌀값은 폭염으로 인한 2023년산 쌀 수확량 감소, 방일 관광객 증가, 지진에 따른 사재기 현상 등으로 인해 20~30% 상승하며 품귀 현상을 겪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