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유엔 기후행동 '로컬 리더즈' 11인에 선정

  • 대한민국 인사로는 유일...기후정책을 선도하는 지방정부 평가

  • 기후불평등 해소와 사회적 약자 보호에 중점을 둔 정책 추진

사진유엔 로컬 리더즈 공식 홈페이지
[사진=유엔 로컬 리더즈 공식 홈페이지]

21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한민국 인사로는 유일하게  유엔 기후행동(UN Climate Change Action)이 선정한 ‘기후정책을 선도하는 지방정부 리더(Local Leaders)’ 11인에 이름을 올렸다.

23일 김 지사 측에 따르면 후보는 경기도지사 재임 시절 ‘기후복지’를 새로운 도정 어젠다로 설정하고, 기후불평등 해소와 사회적 약자 보호에 중점을 둔 정책을 추진해왔다.

특히 전국 최초로 설계한 ‘기후보험’ 제도는 도민 누구나 자동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보편적 공공안전망으로, 폭염·폭우 등 기후재난에 따른 건강 피해에 정액 보상을 제공한다. 의료이송, 입원비 지원, 정신건강 돌봄 등 기후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정책은 국내 타 광역자치단체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적용 가능한 기후복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역시 김 후보의 핵심 기후정책 중 하나다. 경기도는 지난 2년간 1GW 이상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며 원자력발전소 1기에 맞먹는 수준의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북부청사에 공공기관 RE100 1호 발전소를 설치하고, 도 전체의 RE 전환율을 RE48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김 후보는 2026년까지 공공부문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대선 공약으로는 △기후정책 콘트롤타워를 위한 ‘기후경제부’ 신설 △저탄소 전환을 위한 기후산업 400조 원 투자 △전 국민 기후보험 도입을 위한 ‘기후복지법’ 제정 등을 내세우며, 기후정책을 국가 성장 전략의 한 축으로 삼고 있다.

경기도지사로서 경제·사회·환경을 아우르는 통합적 기후정책을 실현해온 김 후보는 이제 중앙정부 차원의 기후 리더십 확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 리더즈(Local Leaders)’는 유엔 기후행동을 중심으로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 글로벌 기후·에너지 시장협약(GCoM), 언더투 연합(Under2 Coalition) 등 주요 국제기후단체들이 공동 주관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고 있는 지방정부의 혁신적 리더십과 모범 사례를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