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와 대한통운의 교섭이 파업 닷새째인 15일 새벽 전격 타결됐다.
이로써 대한통운 계약 해지자 38명은 파업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됐다. 우려하던 물류대란도 노조원들의 파업 참여율 저조로 더 이상의 파국은 없었다.
하지만 갈등의 근원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불씨’를 남겨 이번 사태가 언제든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올해는 파업 동력이 약했던 만큼 물류대란으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지난해 100달러를 넘나드는 고유가 여파로 국내 주요 물류거점이 모두 정지되는 물류대란을 경험한 바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낮은 택배단가. 택배 운송단가는 업계간 출혈경쟁으로 지난 2004년 건당 3638원에서 지난해 2350원으로 30% 이상 떨어졌다. 오히려 사업자들이 1건당 받는 수익은 10년 전 1000원에서 현재 800~900원으로 떨어진 상태다.
게다가 물량을 더 많이 따내기 위한 리베이트 경쟁으로 이마저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업계 종사자의 설명이다.
한국교통연구원 화물운송시장정보센터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택배 개인사업자의 월평균 운송수입은 250만원에 그쳤다. 유류비, 지입료 등 지출을 제하면 순수입은 150만원 전후에 불과하다.
지난해 동원택배와 신세계 세덱스택배가 퇴출되며 단가 인하 경쟁은 한풀 꺾였지만, 아직도 수백개 업체들이 난립해 있다.
물류구조 역시 운송 의뢰를 받는 업체가 다른 영세업체나 개인사업자에게 다시 도급해 주는 ‘다단계 구조’로 인해 영세업자들의 영업이익률은 극히 낮은 상태다.
또 업계 관련 법규나 정확한 통계치도 없을뿐더러, 이를 추진키 위한 협회 설립도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한 택배업계 관계자는 “시장 구조에 대한 과감한 개혁을 통해 회사와 화물운전자들이 합리적 이윤을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택배도 항공이나 해운과 같이 제도권 내에서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시기”라고 밝혔다.
김형욱 기자 nero@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