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 통합' 동상이몽

  • 市 "인근 알짜배기 지자체 흡수가 매력적"…道 "재결합 땐 엄청난 시너지효과 기대"

지방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와 경기도를 통합하는 이른바 '경인도' 신설제안이 잇따라 관심을 끌고 있다.

23일 인천시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인천과 경기를 묶어 인구 1350만 명, 지역내총생산(GRDP) 176조9000억 원 규모의 '경인도'를 신설하자는 주장이 제시됐다.

경기도 산하 경기개발연구원은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를 결합한 '경인도'를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지난 1981년 분리됐던 두 지자체를 다시 결합시켜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보자는 제안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인천항만 및 인천국제공항 등에 대한 개발에 힘을 싣고, 경기도라는 대규모 배후 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경기도 통합전략의 배경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해 경기개발연구원을 통한 통합 계획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경인도'가 인천에 기회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기우 인하대 교수는 지난 20일 열린 '인천을 새롭게 여는 생생포럼 준비위원회'가 마련한 전문가 초청 간담회에서 "인천을 거점도시로 하는 인천+경기 통합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인천시와 경기도를 묶어 대규모의 광역지자체를 탄생시키면 국가경쟁력, 도시경쟁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다"며 "그때 인천이 통합된 광역지자체의 거점도시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천과 경기가 통합될 경우, 인구 100만 명 안팎의 경기도 내 주요 도시들에 비해 인구 270만 명의 인천이 거점도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이 같은 '경인도' 신설제안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미 광역시로서 위치를 다진 인천시가 경기도의 한 거점도시로 자리매김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인천시와 인접한 경기도 김포시 및 부천시 등 통합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더욱 배가되는 인천 인접의 이른바 '알짜배기' 지자체와의 통합이 더욱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 중앙정부에서 지자체 통합에 대한 지침이 내려오지 않은 상황에서 '경인도'와 같은 구상을 검토해 본 적이 없다"며 "지자체 통합을 한다 해도 경기도의 경쟁력 있는 도시와 우리 시를 하나로 묶는 것이 그나마 실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한경일 기자 wow@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