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서울시교육청의 상당수 국·과장(3~4급 상당)급 주요보직을 외부에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곽 교육감이 최근 총무과 등 인사담당 부서에 개방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직위가 어느 정도인가를 확인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고 29일 밝혔다.
한 관계자는 "곽 교육감이 개방형 직위를 어느 정도 선까지 확대하려 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가능한 범위를 파악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볼 때 상당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개방형 직위는 지방공무원법 제31조에 해당하는 결격사유가 없고 경력조건과 실적요건 중 하나 이상의 요건을 충족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며 내부직원뿐 아니라 일반인도 지원이 가능하다.
현재 시교육청 내에서 개방형 직위로 전환할 수 있는 인원은 과장급(4급) 이상 20명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초 최악의 교육비리 사건이 터지자 처음으로 3급 감사담당관을 개방형 직위로 전환키로 하고 최근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
곽 교육감이 주요보직을 외부에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교육행정에 시민사회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교육청 관계자는 "곽 교육감이 민관 협력에 대한 신념이 확고하다"며 "다만 일부 직원들은 '인사위·징계위에 이어 외부에서 또 시민단체 인사들이 들어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언론인,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등 7명의 외부 인사가 비서로 채용됐고 징계위와 인사위 등 주요 위원회도 최근 진보성향의 외부인사 위주로 재편됐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