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8개 국내은행의 부동산 PF 부실채권 금액은 2009년말 1조2천억원에서 작년말 6조4천억원으로 5조2천억원이나 증가했다.
부실채권비율은 같은 기간 2.32%에서 16.44%로 크게 높아졌다.
또 부동산 PF대출 연체금액은 9천억원에서 1조6천억원으로 증가했고, 연체율도 1.67%에서 4.25%로 치솟았다.
반면 은행들이 PF 사업장 정리에 적극 나서 PF 대출잔액은 2009년말 51조원에서 작년말 38조7천억원으로 감소했고, 총대출금 가운데 PF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4.4%에서 3.2%로 낮아졌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의 PF 부실채권금액이 1조9천96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농협(1조5천149억원), 국민은행(7천620억원), 기업은행(5천780억원), 외환은행(3천50억원), 수협(2천899억원), 하나은행(2천630억원), 신한은행(2천39억원) 순이었다.
PF 부실채권비율은 기업은행이 36.17%로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29.64%), 수협(29.31%), 농협(21.17%), 광주은행(20.25%), 경남은행(15.10%) 등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기업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면서 건설사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거나 퇴출된 여파가 컸다"며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건전성 분류기준을 강화한 것도 부실채권금액을 늘린 요인이 됐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올해 3월말까지 은행들이 PF 부실채권 전체에 대한 정리 절차에 들어간 뒤 연내에 57.2%인 3조6천억원을 정리하도록 유도키로 했다.
유형별로 단기 정리방식인 상각, 채권매각, 담보토지매각을 통해 1조3천억원, 장기 정리방식인 계속사업 추진, 시공사 변경, 할인분양을 통해 1조9천억원을 각각 정리하고 사업시행권 매각 등 기타 방법을 통해 4천억원을 해소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이 정리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도록 이행상황을 점검할 것"이라며 "PF 대출의 건전성 분류 및 충당금 적립의 적정성에 대한 지도를 통해 자산건전성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