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원안대로 ‘충청권 유력’

  • MB “갈등있는 국책사업 조속 결정하라”..이달말 윤곽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입지선정의 윤곽이 이르면 이달 말쯤 드러날 전망이다.
 
 4일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과학벨트특별법)’이 5일부터 발효됨에 따라 과학벨트 거점지구 및 기능지구 지정을 포함한 기본계획 수립 등의 업무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 짓기로 방침을 정했다.
 
 특히 오는 6월30일로 예정된 과학벨트위의 입지 최종결정 시한을 최대한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사실 사업 기본계획은 큰 틀은 거의 다 마무리된 상태다”면서 “과학벨트위원회에서 입지만 정해주면 재정계획 등을 보완해 바로 발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여권 관계자도 “대통령이 조속한 결정을 지시한 만큼 당초 예상했던 5월보다 빠른 시점에 결론이 날 것 같다”며 “입지 심의와 결정은 전적으로 위원회의 몫이지만, 그동안의 평가나 조사 결과를 볼 땐 현재로선 충청권 입지가 가장 유력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갈등이 있는 국책사업은 가능한 한 조속히 결정해야 한다”며 “시간을 끌면 안 된다”고 거듭 주문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자신의 대선공약이었던 동남권 신공항 건설 사업이 끝내 ‘백지화’되면서 최근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되고 있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앞으로 과학벨트 등과 관련해선 이런 상황이 재연돼선 안 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실제 신공항의 경우 국토부는 지난 2007, 9년 두 차례의 국토연구원 용역을 거쳐 후보지를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로 좁혔으나, 해당 지역 간 갈등과 지방선거 영향 등을 이유로 입지발표를 세 차례나 미루면서 “갈등만 더 키웠다”는 비판을 듣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009년 용역 당시 두 곳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사실을 들어 “욕은 좀 먹더라도 그때 매듭지었다면 상황이 이렇게까지 되진 않았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과학벨트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과부 장관)는 오는 7일 제1차 회의를 시작으로 과학벨트 입지선정 등을 위한 업무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