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 결과 중 경기지역 표본자료 기초분석을 토대로 ‘경기도민의 하루 통행 엿보기’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는 경기도민 9만8436 가구가 참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0년 경기도민의 평균 출근시간은 38분으로, 2006년 39분 보다 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방향으로의 출근 비율 역시 21.3%로 2006년 24.7%보다 3.4%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출근을 포함해 통행소비 시간은 하루 평균 64분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하루 평균 통행수가 2.14번으로, 여성의 1.85보다 높게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초·중·고생인 5~14세가 2.7번으로 가장 많은 통행수를 기록했다.
또 경기도민들은 하루 평균 2.08개의 교통수단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23개, 여성은 1.93개로, 남성이 여성보다 교통수단을 16%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행 목적은 출근이 19.2%로 가장 많았으며, 등교(12.2%), 업무(3.9%), 여가·오락·친교(3.5%), 쇼핑(2.9%)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출근목적(24.5%) 가장 많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배웅 또는 학원 등(15.5%)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의 경우 2006년 11.6%였던 출근 목적이 2010년에는 13.3%로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와 함께 대중교통 이용시간은 2006년 91분보다 8% 증가한 98분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중교통 이용횟수는 0.33회로 2006년 0.49회보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15~24세가 이용회수가 0.6회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도는 ‘경기도민의 하루 통행 엿보기’분석 자료를 포켓북으로 발간, 일선 지자체와 교통관련 기관에 배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