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강등, 다음 차례는 英ㆍ佛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8-09 16: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짐 로저스 "英·여타 유로존 국가 등급도 강등될 것"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미국에 이어 영국과 프랑스도 '트리플A(AAA)' 신용등급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로이터는 8일(현지시간) 미 등급 강등 이후 유럽에서는 프랑스와 영국이 신용등급 강등 조치를 당할 확률이 가장 높은 국가라고 전했다. 로이터는 두 나라 모두 경제성장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국가 부채가 늘어가고 있지만 이런 상황을 타개할 뾰족한 해결책은 찾아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물론 영국과 프랑스는 현재 국가신용등급이 'AAA'이고 전망도 '안정적'이어서 당장 신용등급이 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더구나 영국은 최근 내놓은 긴축정책 덕분에 국채 수익률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시장의 신뢰도 얻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의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이 급등하자 시장에서는 신용평가사들이 유럽의 최고등급 국가들도 강등 대상 리스트에 편입시킬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됐다. 이날 프랑스의 5년 만기 국채에 대한 CDS 프리미엄은 15.5베이시스포인트(bp·1bp는 0.01%포인트) 오른 160bp까지 치솟아 등급이 'AA-'인 벨기에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CDS 프리미엄은 해당 채권의 부도위험을 반영한다.

투자자문업체 BBH는 투자보고서에서 "프랑스의 등급은 'AAA'와 한단계 아래인 'AA+' 등급의 경계선까지 떨어진 상태이므로 스트레스가 확산되면서 AAA 등급 상실의 위험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프랑스의 경우 유로존(유로화를 쓰는 17개국)에서 'AAA' 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오스트리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중에서 CDS 프리미엄이 가장 높다.

프랑스는 또 유로존의 'AAA' 국가 중에서 재정 적자 규모가 가장 크며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다.

앞서 지난 6월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프랑스가 추가적인 개혁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프랑스의 신용등급을 강등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영국은 자체 통화(파운드화)를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프랑스보다 적자 규모가 크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도 더 높은 수준이며, 경제성장세가 취약한 상황이라는 점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영국도 지난 6월 또다른 신용평가사 무디스로부터 취약한 재정상황에 저성장까지 겹칠 경우 등급을 재검토할 수 있다는 경고를 받은 상태다.

'상품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월가 투자자 짐 로저스는 이날 로이터인사이더와의 회견에서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당한 것처럼 유럽에도 등급이 떨어져야 할 나라들이 많이 있다"면서 영국을 포함한 유로존 국가들도 수 개월 내에 신용등급이 강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