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뭄바이 테러 3주년… 용의자 기소 요구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인도 정부가 뭄바이 테러 3주년을 맞아 인접국 파키스탄에 용의자에 대한 기소를 거듭 촉구했다.
 
 S.M. 크리슈나 외무장관은 26일 성명을 내고 “반인륜적 행위인 테러로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에 대해 온 국민과 함께 애도를 표한다”면서 이같이 요구했다고 인도 언론이 전했다.
 
 2008년 11월 26일 인도의 경제수도 뭄바이에선 파키스탄 테러조직 라슈카르-에 타이바(LeT) 대원 10명이 파키스탄 정보부(ISI)의 지원을 받아 저지른 것으로 추정되는 테러가 일어났다. 나흘간 계속된 테러로 인도인 166명이 숨지고 300명 이상이 부상했다.
 
 인도 정부군은 테러분자 9명을 현장에서 사살하고 한명을 체포했다.
 
 파키스탄 정부는 ISI의 개입을 공식적으로 부인하면서 뭄바이 테러공격의 일부가 파키스탄에서 계획됐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 정부의 거듭된 요구에도 자국내 용의자를 기소하지 않고 있다.
 
 크리슈나 장관은 이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목적 달성을 위한 테러는 정당화될 수 없다”며 “양국간 문제들은 테러와 폭력이 없는 환경에서 평화적 대화를 통해서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 법원은 당시 테러현장에서 유일하게 생포된 아지말 카사브에 대해 지난해 5월 사형을 선고했다.
 
 당시 테러의 한 목표물이었던 ‘차트라파티 시바지’ 열차 터미널 부근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무케슈스 아가르왈(51)씨는 “테러가 일어난 지 3년이나 지났으나 잊을 수 없다”면서 “당시 복부 관통상을 입어 여러 번 수술을 한 덕분에 살아남았다”고 말했다.
 
 이 열차 터미널 인근에서 향수와 손수건을 파는 상인 파드 샤밈(35)씨도 “당시 고향에 가려고 열차를 기다리던 친척 6명이 희생됐다”면서 “친척들이 목숨을 잃은 그날 밤을 기억에서 지울 수가 없다”고 밝혔다.
 
 1947년 영국의 식민지배에서 분리독립한 인도와 파키스탄은 카슈미르 지역 영유권 문제 등으로 세차례 전쟁을 치렀다.
 
 인도는 뭄바이 테러발생 이후 카슈미르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파키스탄과 진행해오던 평화협상을 중단했다가 2년여 만인 작년 말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 이후 양국관계는 점차 개선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