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는 왜 상장폐지 대상 여부를 심사받나

  • 이달 6일부터 한화 주권 매매거래 정지

(아주경제 이성우 기자) 한화그룹의 지주회사인 한화가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폐지 대상 여부를 심사받는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 주요 임원들의 횡령 및 배임 혐의에 따른 것이다. 10대그룹 주요 계열사가 상장폐지 대상 여부를 심사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어쩌다가 이렇게 됐을까.

4일 거래소는 전날 "횡령·배임사실을 공시 등으로 인한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오는 6일부터 한화 주권에 대한 매매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화의 주식거래는 사실상 결과가 나오기전까지 정지된다.

한화가 같은 날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서 배임혐의로 기소를 하였으나, 혐의 내용 및 금액은 확정된 사실이 아니라고 공시를 했음에도 매매거래가 정지된 이유는 뭘까. 검찰이 밝힌 배임 금액이 899억원으로 자기자본(2조3183억원)의 3.9%에 달했기 때문이다. 이 비율이 2.5%를 넘게 되면 상장폐지 심사를 받는다는 규정의 적용을 받게 된 것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한화가 상장폐지까지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서영완 거래소 공시팀장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혀 매매거래 정지가 하루 이틀로 끝날 수도 있다.

지난 2일 서울서부지법에서 열린 김 회장 결심 공판에서 검찰은 배임 혐의가 있다며 김승연 회장에게 징역 9년, 벌금 1500억원을 구형했다. 김 회장에 대한 선고는 오는 23일로 예정돼 있다.

한편,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임원 등의 배임혐의 확인 후 지연공시에 따른 공시불이행으로 한화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예고했다. 부가예정 벌점은 6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