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신도시 주민 입주 총력 지원에 나섰다. 입주민 주거 안정을 위해 해당 지역 내 기반·편의시설을 조기에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착수한 것이다.
LH는 27일 신도시 주민 입주를 지원하기 위해 본사에 임원급으로 구성된 ‘입주지원대책단’을 설치하고, 각 사업현장에 ‘입주지원 종합 상황실’을 설치·운영한다고 밝혔다.
올해 김포 한강·남양주 별내·인천 청라·영종하늘·고양 삼송 등 5개 신도시에서 3만5951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또 세종시에서는 총리실 등 12개 기관, 대구 등 5개 혁신도시는 6개 공공기관이 이전한다.
우선 입주지원대책단은 현장사업단과 연계해 도로·상하수도·조경 등 각종 기반시설 설치현황을 파악하고 정주 환경 조성을 추진한다. 또 전기, 통신, 지역난방, 도시가스 등은 한전, KT 등 유관기관과 입주대비 협의체를 운영, 입주 전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학교·동사무소 등 공공 편익시설은 국토해양부·지방자치단체·교육청 등의 협조를 구해 조기에 설치하도록 하고, 설치 지연 시 통학버스 운영 등 보완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LH가 직접 이동식 상가를 설치하거나 지원하도록 해 입주 초기 주민 편익시설을 이용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현장 사업단에는 콜센터 등 입주지원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입주 불편 상황을 원스톱으로 종합처리하는 시스템도 구축된다. LH는 입주지원단 구축으로 입주민 불편이 크게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지송 LH 사장은 "'선 기반시설 설치, 후 주민 입주'라는 대원칙 아래 주민 불편 최소화에 전체 임직원이 발벗고 나서겠다"며 "앞으로 입주를 앞둔 현장 하나하나를 직접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