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이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실적 근거가 취약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퇴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앞서 진상조사특위는 전날 “지난 총선 때 진보당의 비례 대표 경선은 선거관리에서부터 현장투표, 온라인 투표까지 부정을 방조한 부실선거”라고 발표했다.
그는 “2차 보고서가 객관성 공정성 합리성, 최소한의 진실성이 결여된 부실 보고서”라며, 그 이유로 “진상조사 보고서의 핵심인 온라인투표 관련 외주 용역보고서를 전면 폐기”했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서버 장애 관련“지도부 선출을 위한 인터넷 투표가 서버 장애로 중단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선거를 관리한 혁신비상대책위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석기 의원과 함께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김재연 의원은 입장이 달랐다. 김 의원은 2차 진상조사특위의 보고서 내용을 부정하지는 않았으나, 2차 진상조사특위가 청년비례선거에 문제가 없었음을 공식화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그는 “청년비례선거에서 논란이 된 투표값 조작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청년비례선거와 관련한 오해와 억측은 일부 해소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진상조사특위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는 청년선거임에도 전체 선거를 부정으로 낙인찍었다”며 “청년비례선거는 무결함을 공식화 해달라”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