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문 후보의 승리를 도울 대선 기획위원으로 김부겸·노영민·박영선·이학영 의원이 발표된 가운데 이중 친노로 분류 될 만한 인물은 노 의원 정도다.
문 후보 캠프의 진선미 대변인은 이날 대선기획위원 발표 직후 “조만간 당 외부에서 기획위원 2명 정도를 더 발표할 것”이라며 “당내에선 추가적으로 더 충원할 생각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못박았다.
이들은 앞으로 선대위를 구성하고, 대선 과정을 기획하는 한편 당이 위임한 선거관련 업무를 담당할 계획이다.
이같은 문 후보의 ‘용광로 선대위’ 구상에 따라 선대위는 그동안의 지지세력이었던 ‘친노’세력 보다는 다양한 계파의 인물들이 포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 후보의 ‘친노’ 거리두기는 첫 공식일정이었던 현충원 참배에서도 나타났다.
문 후보는 비서실장과 대변인만 대동한 채 단독으로 참배에 나섰던 것. 당초 이해찬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가 동행 의사를 밝혔으나 문 후보가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를 비롯한 친노 지도부가 문 후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경선을 도와줬다는 당 안팎 의혹의 눈초리에 따라 사실상 거리두기를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사실상 친노 지도부도 문 후보의 계파 없는 선대위 구성을 위해 2선으로 물러난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대선이 끝날 때까지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면 문 후보의 요청이 있을 때만 최고위원회를 개최하기로 해서다.
김한길 최고위원도 이날 한 방송에 출연해 “이제는 지도부가 2선으로 후퇴해서 후보에게 쇄신할 수 있는 힘이라도 줘야 되는 게 아닌가 그렇게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김 최고위원은 선대위 구성에 친노세력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과 관련해선 “안된다. 모두가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노세력을 배제할 경우 당선 가능성이 떨어져 정권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안철수 원장측과) 무조건 합치면 이기는 선거가 아니다”며 “합치긴 합치되, 양쪽의 지지세력이 한 모퉁이가 떨어져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온전하게 합쳐져야 겨우 이기는 선거”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