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담은 박근혜정부와 오바마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하는 정상회담으로, 양국 정상은 60주년을 맞은 한·미 동맹의 지속적 발전과 향후 4년을 함께 할 양국 행정부 간의 정책협력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이후 점증하는 한반도 긴장에 따른 대북 대응의 공조방안, 양자 간 실질 협력 확대, 동북아와 범세계적 협력 방안 등을 협의했다.
이번 공동선언은 지난 2009년 양국 간 발표된 '동맹 미래비전'을 뛰어넘어 향후 수십년을 내다보는 양국 관계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요소들이 포함됐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에게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및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등 주요 정책에 대해 미국의 지지를 요청하고 북한이 대화의 장에 나올 수 있도록 미국과 국제사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서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을 고려해 한·중, 미·중 간의 관계설정을 어떻게 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양 정상은 동맹 60주년 공동선언에서 북한에 대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입각한 '평화통일'을 추진한다는 부분을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안보 분야에서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대해 '굳건한 한·미 동맹' 유지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원칙을 확인하고, 이런 원칙 아래에서 양국 입장의 최대공약수를 찾아내도록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발효 1년을 맞게 되는 한·미 FTA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중소기업 정책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온 만큼 한·미 FTA의 관세혜택을 받기 위한 원산지 기준 완화에 대해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마친 후 김용 세계은행 총재와 면담을 하고 저녁에는 한·미 동맹 60주년 기념만찬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어 8일에는 미국 상ㆍ하원 합동연설에서 60주년을 맞는 한·미 동맹의 강화 방안에 더해 자신의 대북 구상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외교안보 구상인 '서울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미 의회의 지지를 호소할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