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지난주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난 북한의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은 “여러 형식의 대화를 원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이에 대해 패트릭 벤트렐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이번 일로 모든 것을 규정할 수 없다”며 “북한은 국제 의무를 준수하겠다는 진지한 의도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대화 복귀 제스처를 한 것을 무시하지는 않지만, 비핵화·무력도발을 하지 않는 진정성 있는 행동을 바라고 있는 것이다.
벤트렐 부대변인의 이날 발언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그동안 밝힌 대북한 원칙을 다시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초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밝힌 대북 정책 4가지 원칙도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과 대량살상무기 사용 및 해외 기술 수출 등을 불허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러한 미국 정부의 입장은 지난 수십년 동안 북한은 대화 제스처, 반발,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 및 실험, 당근책 유인, 다시 대화 복귀의 과정을 반복한 데 따른 것이다.
북한의 의중을 전달받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달초 미 캘리포니아주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회담을 하는 자리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될 전망이다.
미국은 지난해 북한에 대한 식량 원조 대가로 요구한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중단 등 핵·미사일 실험 모라토리엄(유예) 등을 대화복귀 전제조건으로 내세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난 2009년 첫 취임 이래 북핵 문제로 고심해온 오바마 미국 행정부도 이번 일을 계기로 결실을 얻으려 한다면 원만한 상호 합의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