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회담을 놓고 8일에도 회담형식을 둘러싼 이견으로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이 오는 10일 서울광장에서 두번째 대규모 대중집회를 연 뒤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촛불집회에 당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동참할 계획이어서 정국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과 담판으로 문제를 풀려는 생각은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보면 문제가 있다”면서 “5자회담을 거부하려면 의제 중에 원내 일이 없음을 먼저 밝히는 게 순리”라고 민주당의 단독회담 고수 입장을 비판했다.
황 대표는 “원내문제가 포함됐다면 5자회담을, 아니면 그동안 민주당이 정례화하자고 줄기차게 주장한 3자회담을 해 의견 교환하는 자리를 속히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특히 이날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선 어떤 형식의 회담이 열리더라도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국정원 국조특위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드는 오는 20일 전후가 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청와대는 전날 야당의 5자회담 거부에 대해 유감 표명과 함께 “문을 열어놓고 기다릴 것”이라고 밝힌 이후 추가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단독회담으로 엄중한 정국을 풀자고 제안했는데 청와대가 5자회담을 역제안하면서 기싸움처럼 돼버렸다.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면서 단독회담 수용을 거듭 촉구했다.
국정원 국조도 여전히 불안한 상태다. 민주당은 이날 증인채택에서 제외된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에 대한 증인채택을 거듭 주장하고 나섰다.
김 대표는 김 의원과 권 대사를 겨냥해 “만일 두 사람이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는다면 과연 그 이상의 국조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전주를 시작으로, 9일 천안 등에서 집회를 갖는 등 전국순회 투쟁에 나설 계획이며 오는 10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제2차 범국민 보고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