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도 부처별 통합정원 감축 내역. 표=행정자치부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정부가 연내 중앙부처 국가일반직공무원 정원 972명을 줄이는 대신 이들을 신종 감염병 대응, 출입국 심사 등 국민생활 밀접분야로 이동시킨다. 행정자치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44개 부처 직제 개정령안이 2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인력 이동은 정원 통합관리로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고, 국정운영 우선 순위별 정원을 분산시키는 인력 효율화 방안으로 2013년 도입된 통합정원제 운영에 따른 것이다.
매년 전 부처 정원의 일정비율(약 1%)을 통합으로 지정하며 연도별 2013년 1042명, 2014년 994명이 각각 줄였다. 올해는 앞서 감축된 3개 부처 32명 포함을 포함해 총 972명이 대상이다.
올해 재배치 뒤 활용되는 인력은 791명이다. 세부적으로 이달 10일까지 감염병 대응 역학조사관 보강, 각 부처 정보보호 차원의 사이버보안 강화, 지역일자리 지원 및 복지 서비스 동시 제공하는 고용복지+센터 확대 등 국민안전 및 사회복지 분야에 우선 546명을 증원했다.
이날 직제 개정으로 출입국 심사시간 효율화, 구제역 같은 가축질병 대비 구제역백신센터 설치를 비롯해 제2항공교통센터 등에 245명을 보강한다. 단 경찰·교원 증원분은 제외한다.
심덕섭 행정자치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어려운 국가 재정여건을 고려해 공무원 정원의 효율적 관리에 노력 중"이라며 "감축된 정원범위 내에서 경제살리기, 국민안전 등 정부의 국정운영 성과 창출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