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열리는 이번 초청 강연회에서 박 전 총재는 ‘한국경제 진단과 나아갈 길’에 대해 강연한다.
박 전 총재는 현재 정부가 펼치고 있는 경기부양책이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정부가 순환적 침체에 대한 처방을 중심으로 대처하고 있고, 현 경기침체의 본질은 가계빈혈로 인한 민생위기임에도 정부는 정부가 계속 대기업을 도와서 투자와 수출을 늘려 성장률을 높이려고 하는 낡은 산업화시대 패러다임에 묶여 있다고 두 가지를 지적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과 정책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가계소비가 기업투자나 수출과 함께 성장을 이끌어 가야하고, ▲제조업의 성장주도력은 이제 한계에 이르렀으며 그 빈자리를 서비스업이 채워야 하며, ▲기업성장이 투자를 통해 가계소득을 늘리는 이른바 낙수효과(Trickling effect)에 의한 성장방식에서 벗어나 가계소비가 기업소득을 늘려 성장을 이끌어가는 이른바 분수효과(Fountain effect)에 의한 성장과 서로 보완적으로 경제성장을 견인토록 하고, ▲복지가 성장을 과도적으로 앞서가도록 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조찬행사에는 상생과통일포럼 공동대표인 정세균 국회의장, 정우택 국회의원, 최창섭 서강대 명예교수와 장병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 이진복 국회 정무위원장, 김영춘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조경태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원혜영, 윤호중, 오제세, 박순자, 윤관석, 김관영 국회의원 등 정치인과 금융·증권·보험·카드사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 대기업 및 중견기업 CEO, 학계 전문가, 언론계 인사 등 300여 명이 참석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